4책. 필사본. 편자와 필사 연대는 미상이다. 이성계(李成桂)의 고조부인 목조(穆祖)의 고사본말(故事本末)부터 시작해 효종대의 고사본말까지 기록하였다. 목조로부터 환조(桓祖)까지는 그 내용이 극히 간략하다.
이후 실제로 왕위에 올랐던 각 왕조 고사본말부터는 당대의 중요한 사실과 사건 등을 항목별로 설명하였다. 또 상신(相臣)·문형(文衡)·명신(名臣) 등의 항목을 붙여 각기 그 약전(略傳)을 실었다. 또한 후대에 추존된 왕에 대한 고사본말도 기록하였다.
각 권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책에는 책머리에 목조로부터 정조까지의 왕실의 계보를 붙였다. 이어 목조 이하 연산군까지의 고사본말을 수록하였다.
즉 태조잠룡시정벌(太祖潛龍時征伐)·정국도축성벽(定國都築城闢)·유배왕씨(流配王氏)·태종정사(太宗定社)·방간지란(芳幹之亂)·정릉폐복(貞陵廢復)·조준하옥(趙浚下獄)·민무구옥(閔無咎獄)·세자폐위양령(世子廢位讓寧) 등을 수록하였다.
계속해 설집현처사가독서(設集賢處賜暇讀書)·개척육진(開拓六鎭)·강봉노산(降封魯山)·단종복위(端宗復位)·이시애란(李施愛亂)·정건주위야인(征建州衛野人)·윤비책립폐사(尹妃冊立廢死)·무오사화·갑자사화·연산치교동(燕山置喬桐)·무오당적 등이 기록되어 있다.
2책에는 연산군부터 명종 때까지의 고사본말이다. 즉 갑자화적(甲子禍籍)·왕비신씨폐위복위본말(王妃愼氏廢位復位本末)·유자광찬사(柳子光竄死)·삼포왜변(三浦倭變)·기묘화원(己卯禍源)·기묘사화·현량과파복(賢良科罷復)·기묘당적(己卯黨籍)·박경빈복성군지옥(朴敬嬪福城君之獄)·을사당적(乙巳黨籍)·정흥종지옥(鄭興宗之獄)·을묘왜변·요승보우지찬(妖僧普雨之竄)·윤원형출사(尹元衡黜死)·갑자찬축(甲子竄逐) 등이 기록되어 있다.
3책에는 명종부터 광해군 때까지의 고사본말이다. 즉 대비수렴(大妃垂簾)·동인용사(東人用事)·기축옥(己丑獄)·기축당적(己丑黨籍)·임진왜란·이순신한산지첩(李舜臣閑山之捷)·임진의병(壬辰義兵)·천병철환(天兵撤還)·종계변무(宗系辨誣)·삭탈유성룡관작(削奪柳成龍官爵)·동서남북지론(東西南北之論)·정인홍삭유적(鄭仁弘削儒籍)·서궁사(西宮事)·광해난정(光海亂政) 등이 실려 있다.
4책에는 인조부터 효종 때까지의 고사본말이다. 즉 이괄지란(李适之亂)·박홍구옥(朴弘耉獄)·이인거옥(李仁居獄)·유효립옥(柳孝立獄)·송광유무고옥(宋匡裕誣告獄)·신미옥·정묘란·병자란·이명준논빈어(李命俊論嬪御)·소현세자(昭顯世子)·정저사(定儲嗣)·김자점옥(金自點獄)·서변옥(徐忭獄)·김홍욱장사(金弘郁杖死)·효묘대참(孝廟大慚) 등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 역대 왕조의 정치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