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관 ()

목차
교통
제도
조선시대 평안도 정주에 설치된 역참 또는 그 역참의 부속건물인 객사(客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평안도 정주에 설치된 역참 또는 그 역참의 부속건물인 객사(客舍).
내용

신안관은 평안도 중화의 생양관(生陽館)에서 의주의 의순관(義順館)에 이르는 대동도(大同道) 소속의 역참으로 중국사행로에 있어 중요한 경유지의 하나였다.

고려시대에는 신안참이라 했으며, 조선 초기에 신안관으로 개칭하고, 『경국대전』에는 신안역으로 표기되었다. 신안관의 관리는 고려시대에 흥화도(興化道)에 소속되었으며 초기에는 평안도 신안관로찰방의 감독 아래 있었으나, 후기에는 대동도찰방으로 개편되었다.

신안관에는 사신접대를 목적으로 전패실(殿牌室)·칙서방(勅書房)·대청(大廳)·동헌(東軒)·서헌(西軒), 포진고(鋪陳庫)·사후청(伺候廳)·공수방(供需房)·목기고(木器庫) 등의 부속건물이 세워졌으나 1817년(순조 17)에 불타버렸다.

그 뒤 1819년에 목사 유상재(柳尙載)가 중수하여 서별관(西別館)·영빈당·영춘당 등의 건물이 다시 세워졌다. 대동도의 속역(屬驛)은 중화(中和)의 생양관(生陽館)-순안(順安)의 안정관(安定館)-숙천의 숙녕관(肅寧館)–주의 안흥관(安興館–산(嘉山)의가평관(嘉平館)-정주(定州)의 신안관-곽산(郭山)의 운흥관(雲興館)-선천(宣川)의 임반관(林畔館)-용천(龍川)의 양책관(良策館)-개천(价川)의 소곶관(所串館)-의주(義州)의 의순관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관서읍지(關西邑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관서역지급부사례(關西驛誌及附事例)』
「조선후기의 역지분석 Ⅰ-관서역지를 중심으로-」(조병로, 『동국사학』18,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