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9세기말 규장각의 직학사(直學士)와 참판을 지낸 이정렬(李貞烈)이 고종으로부터 하사 받아 지었다고 한다.
큰집의 사당과 작은집의 대문채 · 사당은 20세기 초에 건립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가옥은 민속마을인 외암리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동남향한 큰집과 서남향한 작은집이 담장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여 따로 곽(廓)을 이루면서 자리 잡고 있다. 큰집은 솟을대문이 시설된 一자형 대문채 뒤편에 ┘형을 이룬 사랑채와 곳간채가 ┌형의 안채와 함께 안마당을 둘러싸면서 튼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대문채는 사랑채의 정면을 바라볼 수 없도록 서쪽으로 틀어져 있으며, 사당은 안채의 서북쪽 뒤편에 자리 잡고 있다.
안채는 2칸 안대청을 중심으로 좌익사(左翼舍)에 앞에서부터 부엌 · 안방 · 윗방 · 골방이 배설되고, 우측에 건넌방 · 작은부엌 · 머릿방이 놓여 있다. 안대청과 건넌방의 앞에는 툇마루를 시설하였으며, 안방 앞과 건물 뒤에는 쪽마루를 놓았다.
안대청의 전면개구부는 가운데를 쌍여닫이, 좌우측을 외여닫이로 한 4분합여닫이문이다. 이는 주택에서 보기 드문 개폐방법이다. 사랑채는 좌측에서부터 작은사랑방 · 대청 · 큰사랑방 · 부엌으로 구성되어 있다.
2칸 큰사랑방 우측 1칸과 부엌 앞의 툇간에 각기 고방과 골방이 마련되어 있다. 곳간채는 헛간 · 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랑부엌의 우측에 연접된 중문간과 연이어 있다.
중문간의 중문은 사랑마당에서 돌아들어 안마당에 이르도록 동쪽에 설치되어 있다. 대문채는 一자형의 8칸 후퇴집으로 중앙에 솟을대문이 있고, 그 좌우에 헛간과 구들이 배설되어 있다.
안채는 막돌허튼층쌓기한 기단 위에 덤벙초석을 놓고 방주를 세웠으며, 주상(柱上)의 도리는 납도리로 전면에만 장여를 받쳤다. 대청상부 가구는 1고주 5량가로 종량 위에 제형판대공을 세워 뜬창방을 올려놓고, 그 위에 소로를 놓아 장혀와 종도리를 받도록 하였다.
사랑채는 안채의 구조기법과 같다. 작은집은 큰집의 동쪽에 위치하여 큰집과 같은 므형의 배치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사당은 안채의 동북쪽 뒤편에 있다.
안채와 사랑채의 평면구성은 큰집과 유사하다. 구조는 사랑채만 1고주 4량가로 하여 동자주 대공을 사용하고 지붕을 초가로 한 것이 다르다. 대문채는 초가지붕으로 평대문을 설치하였으며, 큰집과 달리 사랑채를 향하도록 동쪽으로 약간 틀었다.
이 집은 큰집의 대문간 앞으로 돌담을 내쌓아 고샅처럼 공간을 연출한 것이 이채로우며, 집안에 잘 보존되어 있는 세간살이와 가구 등이 전통생활방식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