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아산유고
아산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정호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호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855년(철종 6) 6대손 영헌(榮憲)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고정진(高貞鎭)의 서문과 권말에 기정진(奇正鎭)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27수, 서(序) 2편, 설(說) 1편, 규(規) 1편, 제(題) 3편, 일기 1편, 어록 1편, 권2는 부록으로 세계·연보·행록·유사·행장·묘표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개 술회시가 많은데, 특히 병자호란 직후 시대적 울분을 토로한 시가 주목되며, 삼학사(三學士)와 김상헌(金尙憲)에 대한 시가 몇 수 포함되어 있다.

설의 「계자설(戒子說)」은 가정·사회·국가가 모두 윤리관을 확고하게 가져야 함을 강조한 글로서, 여러 차례의 전란을 겪은 후의 시대관을 엿볼 수 있다.

「학규(學規)」에서는 성현이 되기 위하여 뜻을 세우는 일을 비롯하여 인격수양과 학문하는 방법 등을 5조목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