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현 소유자인 권태응(權泰應)이 원래의 세거자(世居者: 한 고장에서 대대로 살아온 사람)가 아니어서 그 유래 · 연혁을 자세히 알 수 없다.
완벽한 ㅁ자형 주택으로 안채는 길이가 7칸이고 너비가 2칸이며, 안방과 상방 앞에만 전퇴(前退)를 두었다. 안방의 크기는 3칸이나 되며, 방 후면에는 골방을 두었다.
안방 서쪽에는 부엌이 있는데 안방과 부엌의 배치관계는 남부지방 민가형을 따르고 있다. 부엌은 3칸통으로 전면은 출입문이 없이 개방되어 있고 북쪽과 서쪽 두 곳에 뒷문을 둔 것은 부엌이 길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부엌 아래로는 3칸의 광을 통간(通間)으로 꾸미고 바닥에는 모두 마루를 깔았다.
안방과 부엌 3칸, 광 1칸의 천장에는 ㄱ자로 연잇는 다락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렇게 안방 천장까지를 다락으로 꾸미는 예는 드문 일이다. 상방(건넌방)은 대청 오른쪽 끝에 1칸 규모로 되어 있으며, 그 옆 칸을 골방으로 하여 상방에서 출입하도록 하였다.
골방 아래로는 마루방과 모방 · 협문 · 고방으로 연속되고 주간(柱間)에 2칸인 사랑대청은 이 주열(柱列)에서 밖으로 두출(斗出)되어 있다.
사랑채와 중문간채는 동서 一자로 접하여 그 길이가 9칸이나 되며, 사랑채는 너비가 2칸이다. 가운데 칸이 중문간이며 그 동편이 사랑채, 서편이 문간채가 된다. 사랑방은 정면 2칸, 측면 1칸으로 전퇴를 두었다.
대청은 정면 2칸에 측면 2칸의 4칸으로 뒷면과 동측면에만 두 짝의 판장문을 달았고, 앞쪽은 개방되어 있다. 중문간의 서쪽으로는 1칸의 마구간과 작은사랑방 · 마루방이 안부엌 아래 광과 연결된다.
사랑마당 전면에 놓여 있는 대문간채에는 온돌방 1칸과 대문간 1칸, 마구간 1칸, 헛간 1칸이 동쪽에서부터 배치되어 정면 4칸, 측면 1칸의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대문간채의 대문을 이용하지 않고 그 동쪽에 새로 낸 철판재 대문을 이용하고 있다. 안채의 대청은 고주(高柱) 없이 평주(平柱)로만 구성된 정면 2칸에 측면 2칸의 4칸 대청으로 이중보에 5량가구(樑架構)로 짜여졌다.
대청의 전면에는 두리기둥을, 뒷면과 측면은 각주(角柱)를 사용하였다. 사랑채의 구조를 보면 온돌방에는 네모진 기둥을 사용한 반면, 대청 전면과 동측면에는 두리기둥을 사용하였는데, 안채와 같이 이중보에 5량가구로 짜여져 있다. 그리고 중문간채와 대문간채는 모두 방주를 세웠다.
이 집 안대청의 시렁설비는 다양하고 충실하게 꾸며져 있다. 대청 건너 상방과 골방 천장의 대형 다락설비는 안방 · 부엌 천장의 다락과 함께 이 주택의 가장 특색 있는 구조라 하겠다.
또 각부 부재의 견실한 규격도 눈에 띄게 특색을 발휘하고 있으며, 대청에 면한 온돌방 문의 세살 골판문이 지니는 고격(古格)도 눈길을 끈다. 전체적으로 규모가 크고 설비가 합리적으로 완비되었을 뿐만 아니라 부재가 견실하여 장중한 맛을 짙게 풍기는 조선후기 주택의 좋은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