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수곡동 고분군 ( )

선사문화
유적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내용

낙동강 상류의 한 지류인 임동천(臨東川) 양안의 산비탈에 분포한다. 1985년임하댐이 건설되면서 산록 아래쪽에 있던 것은 수몰되었다.

고분의 외형은 원형의 봉토분이고 매장주체부의 구조는 반지상식 또는 지상식 돌덧널[石槨]이다. 돌덧널은 측면벽을 할석으로 쌓고 바닥은 할석 또는 냇돌로 깔고 천장은 석개(石蓋)로 하지 않고 목개(木蓋)로 하였다.

돌덧널의 규모는 길이 7.5m, 너비 1.7m, 높이 1.5m되는 큰 것이 몇 기 확인된다. 대부분 길이 3∼3.5m, 너비 80∼100㎝, 높이 약 1.1m이다.

이 곳 고분의 특징은 돌덧널 상부가 봉토분으로 되어 있지 않고 돌무지무덤으로 된 돌무지돌덧널무덤이라는 점이다. 이는 낙동강유역의 돌덧널봉토분[石槨封土墳]이나 경주지역의 돌무지덧널무덤과 구별되는 유형으로서, 대구 구암동고분에서 처음 알려진 이후 청송 율리고분, 칠곡 다부리고분, 안동 조탑리고분 등지에서 확인되고 있다.

또 다른 특징은 매장주체부가 시차를 두고 조성되었음에도 3∼4기가 한 집단묘군을 이루다시피하여 분포되어 있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가족 또는 공동체적 단위가 한 묘역을 이루었던 것으로 추측하게 한다.

부장유물은 토기류가 대부분이나 장신구로서 금동제 귀걸이, 청동제 대금구(帶金具)가 있다. 이 외에 철도자(鐵刀子)·철촉(鐵鏃)·철겸(鐵鎌)을 부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고분군의 조성시기는 부장토기의 형식을 근거로 할 때 이른 것은 수곡 2동 1호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서기 5세기경이고, 늦은 것은 수곡 1동 2호분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7세기경이다.

참고문헌

『임하댐수몰지구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Ⅱ(윤용진 외, 안동군·안동대학박물관·경북대학교박물관, 1989)
집필자
윤용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