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락국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내용 요약

「안락국전」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이다. 이 작품은 불교 설화인 「안락국태자전」을 저본으로 삼아, 선악 대결 구도를 강화하며 권선(勸善)과 징악(懲惡) 양자를 고루 표현하고 있다. 또 도교와 불교 계열의 다양한 설화를 소설의 삽화로 수용하였다. 이 작품은 「안락국태자전」을 충실히 모방하면서도, 선악 대결 구도를 선명하게 내세우고 상세한 서술과 다양한 삽화를 보여주고 있어, 소설적 재미를 추구하는 면모도 갖추고 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개설

1책의 국문 필사본으로 불교계 국문 소설이다. 불교 문헌에 속하는 한문 저본으로 주1, 주2 등이 있어, 작가와 연대를 상대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안락국전」의 국문 원본으로는 「안락국태자전」( 『월인석보』 제8)이 있다. 이들 저본과 원본 중에서 「안락국전」은 「안락국태자전」의 계통을 직접 계승한 흔적이 보인다.

이 저본들의 원전이 불경의 목록에 들어있지 않은 것을 보면, 한국의 불교계 주3『석보상절』의 완성 이전에 아미타불정토사상에 근거하여, 주5 형태로 한문 「안락국태자경」을 지어낸 듯하다. 이것이 불교계에 전해지다가 15세기 『석보상절』의 찬역에 끼어들었고, 그대로 『월인석보』의 「안락국태자전」으로 정착된 것이라 하겠다. 즉, 「안락국전」은 15세기 원본을 기점으로, 16세기를 거쳐오면서 불교계 인사들에 의하여 형성, 전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현황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본 「안락국뎐」(규호소적 수록, 19장), 「안락국젼」(단권 29장), 국립중앙도서관본 「안락국젼」(단권 21장), 정명기본 「알낙국젼」(단권 15장), 박영돈본 「안락국젼」(단권 23장) 등이 있다. 한문 필사본으로는 마곡사본 「안락국태자경(安樂國太子經)」(불전집록, 3장)이 전한다.

내용

다양한 국문 이본 중 국립중앙도서관본을 중심으로 내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대원국 사라수왕과 왕비 원왕 부인이 주7의 권능에 감동하여 출가해서 서역국에 가는 도중, 부인이 만삭의 몸이라 금릉 땅 자현 장자의 종으로 팔리게 되었다. 왕은 아이의 이름을 지어주고, 부인은 왕에게 왕생게(往生偈)를 일러주고는 헤어진다. 부인이 아들 안락국을 낳은 후, 장자는 부인에게 수청을 강요하면서 부인을 괴롭힌다. 성장한 안락국은 부인을 통하여 부친의 소재를 확인하고, 서역국에 들어간다. 사라수왕을 만나 ‘안락국’이라는 이름과 왕생게를 통하여 부자간임을 확인한다. 안락국은 왕으로부터 백색 · 홍색 · 청색의 연꽃을 받아 금릉 땅에 돌아와 뼈만 남은 어머니를 소생시킨다. 장자의 집은 청천 벼락으로 연못으로 변하고, 안락국 모자는 왕과 재회하여 극락을 누린다. 이후에는 불교적 교훈을 담은 내용이 부연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국문 소설 「안락국태자전」을 원본으로 하여, 유교적 덕목을 강화하고 도교 · 불교 계열의 민간 설화를 흡수하여 전형적인 국문 소설 형태로 성장 · 정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표면적으로는 서원을 세워 염불하고 정진(精進)하여 안락국토(安樂國土)에 이른다는 정토 신앙의 핵심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내면적으로는 여성의 희생적 사랑이 인간을 구제하고 영원으로 승화시킨다는 삶의 근원 명제를 설파하고 있다. 이처럼 심오한 주제의 부각을 위하여 대왕과 왕비가 출가하여 겪게 되는 불행한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대담한 구성을 시도함으로써 감명깊은 서사구조를 창출해 내었다. 표현 문체도 주8의 성향을 띤 번역체로서 주8 섬세하여, 국문 소설로서의 가치가 충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선악 대결 구도를 강화하며 권선(勸善)과 징악(懲惡) 양자를 고루 표현해, 소설적 재미를 추구하는 면모가 뚜렷하다.

참고문헌

원전

『신라함월산기림사사적(新羅含月山祇林寺事蹟)』
『월인석보』 7·8(연세대학교동방학연구소, 1957)
「안락국전」(이동림 교, 『현대문학』 50, 1959)

논문

강연임, 「《월인석보》소재 <안락국태자전>의 텍스트성 - 결속구조를 중심으로 -」(『불교문화연구』 5, 한국불교문학학회, 2005)
사재동, 「「安樂國太子傳」 硏究」(『어문연구』 5, 충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어문연구회, 1967)
전진아, 「<釋迦如來十地修行記>의 구성방식 : 저본불경과의 내용비교를 중심으로」(『한국고전연구』 3, 한국고전연구학회, 1997)
조은애, 「『석가여래십지수행기』 제10지 〈실달태자〉에 나타난 ‘향' 모티브의 수용과 의미」(『우리문학연구』 56, 우리문학회, 2017)
조현우, 「안락국전의 통속성 연구」(『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2,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6)
조흥윤, 「안락국전 연구-원앙부인 본풀이」(『샤머니즘연구』 2, 한국샤머니즘학회, 2000)
주석
주1

충주 덕주사판 「석가여래십지수행기(釋迦如來十地修行記)」 부록 필사.

주2

1740년 경주 기림사판 『신라함월산기림사사적(新羅含月山祇林寺事蹟)』.

주3

글을 짓거나 글씨를 쓰는 일을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5

중국 당나라 중기부터 북송 초기에 걸쳐 민중 사이에서 유행한 민간 문학. 절에서 속강(俗講)을 설법하는 승려가 신자들을 교화하기 위하여 불경의 이야기를 구어나 속어로 쉽게 풀어 하던 설법에서 비롯되었으며, 운문과 산문을 교대로 사용하여 이야기해 나간다. 우리말샘

주7

‘석가모니’의 다른 이름.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존재라는 뜻이다. 우리말샘

주8

부녀자들 사이에서 오가는 편지의 서체. 모필체의 하나로서 정형화된 궁체(宮體)와 달리 자유롭고 대담한 흘림체라는 특징이 있다. 우리말샘

주9

법도에 맞고 아담하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