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한규 ()

근대사
인물
개항기 때, 선략장군 부사과, 초계군사 겸 내금위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의병을 일으켜 항쟁한 의병장.
이칭
문찬(文贊)
칙헌(則軒), 초계(草溪)
이칭
초계(初桂), 양월서(梁月瑞)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4년(헌종 10)
사망 연도
1907년(고종 44)
본관
남원(南原)
출생지
전라북도 남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때, 선략장군 부사과, 초계군사 겸 내금위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의병을 일으켜 항쟁한 의병장.
개설

본관은 남원(南原). 초명은 양월서(梁月瑞). 자는 문찬(文贊), 호는 칙헌(則軒) · 초계(初桂, 草溪). 전북 남원 출신. 증호조판서 양맹석(梁孟錫)의 아들로, 어머니는 파평윤씨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남원부사 심의두(沈宜斗)에게 청하여 군사 300명을 거느리고 상경하여 난군을 토벌하고자 하였으나, 심의두의 만류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891년 선략장군 부사과(宣略將軍副司果), 이듬해 통훈대부초계군사 겸내금위장(通訓大夫草溪郡事兼內禁衛將)에 제수되고 이어 통정대부가 가자되었으나 사양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되자, 국권을 회복하고자 널리 우국지사와 연락하여 군사를 모으니 영남 · 호남에서 1,000여 명이 호응하였다. 1907년 2월 12일(음력 12월 30일) 남원 진위대 성내 장병이 연말연시를 맞아 휴가나간 틈을 이용하여 읍을 점령, 무기를 접수할 계획을 세웠다.

그의 휘하 100여 명의 정예병을 비롯, 참봉 유병두(柳秉斗)의 군사 50명 및 진사 박재홍(朴在洪), 상인 양문순(梁文淳) 등 많은 의병에 의하여 의병대장으로 추대된 뒤 13일 새벽 읍내로 진군, 남원성에 입성하였다.

광한루에 본진을 두고 있던 일본군과 진위대가 의병들의 급습에 놀라 무기를 둔 채 성밖으로 도주하자, 무기 · 군수품을 그대로 접수하는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도주하는 적을 추격하던 중 유탄에 맞아 죽었다.

상훈과 추모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기려수필(騎驢隨筆)』
『매천야록(梅泉野錄)』
『독립운동사』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한국독립사』(김승학, 독립문화사, 1965)
『황성신문(皇城新聞)』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