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호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연호유고
연호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진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진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33년 손자 창현(昌絃)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상호(李祥鎬)의 서문, 권말에 조세환(曺世煥)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권1·2는 시 160수, 서(書) 10편, 잡저 4편, 기(記) 2편, 명(銘) 2편, 상량문 1편, 제문 5편, 부록으로 만사 16수, 제문 6편, 유사·행장·묘지명 각 1편, 묘갈명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십로운(十老韻)」은 늙음을 조명한 특이한 작품으로, 정승·장군·선비·기생 등 직업에 따라 늙음도 달라진다는 뜻을 드러내고 있다.

잡저의 「연호설(蓮湖說)」은 연꽃에 비겨서 자기의 사상과 포부를 서술하고, 연은 군자의 기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상 그를 동경하여 행실을 가다듬기 위함이라고 설명하였다.

「형영론(形影論)」은 모든 사물이 형체와 그림자가 있는데 형체가 바르면 그림자도 바르다고 전제한 뒤, 형영은 곧 성행(性行)에 상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모는 비슷해도 선악이 같지는 않다는 일본만수(一本萬殊)의 이치를 설명한 것이다.

이밖에도 임진왜란 때 영천 수복에 공이 큰 권응수(權應銖)의 전공비를 세우는 데 동참할 것을 호소한 「통영천사림문(通永川士林文)」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