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연당동 석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영양 연당동 석불좌상
영양 연당동 석불좌상
조각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제작된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양연당동석불좌상(英陽蓮塘洞石佛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9년 01월 25일 지정)
소재지
경북 영양군 입암면 연당리 360-2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제작된 불상.
내용

불상 높이 1.12m, 대좌 높이 1.11m.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마을 가운데 임시로 지어놓은 건물 안에 모셔져 있는 이 약사불좌상은 광배와 대좌를 모두 갖춘 삼부작(三部作)이다.

육계 일부와 양쪽 눈이 깨져 있고 광배가 세 조각으로 절단되어 있기는 하지만 거의 완전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비록 당대의 대표되는 작품은 아니지만 지방색이 현저할 뿐만 아니라, 등 쪽에 새겨져 있는 “市元年乙酉八月佛成之 所屯沙干卽中成之 金獻長戌像師(시원년을유8월불성지 소둔사간즉중성지 김헌장술상사)”라는 명문으로 미루어 제작 연대가 889년으로 거의 확실시되고 있는 불상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이 불상은 직사각형의 얼굴에 삼도가 선명한 굵고 짧은 목을 갖추고 있으며, 약간 움츠린 듯한 어깨에 왼손에 약합을 들고 있다. 그리고 무릎의 앞면이 납작하게 평판화되어 있다. 이 불상은 전반적으로 지방화가 현저하게 나타나 있는 작품이다.

통견의 법의는 가슴 앞의 V자형 옷섶 표현과 물결식의 옷주름 선, 기하학적 무늬 처리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이 불상이 기하학적이고 형식적인 표현이 크게 진출한 불상임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불신은 다소 경직된 듯한 느낌을 주고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안정되고 정돈된 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키 모양으로 만들어진 광배는 두광과 신광이 하나의 돌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 광배는 기다란 신광 안에 양각된 두 줄의 띠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광의 주변에는 단조로운 소용돌이 구름무늬가 드문드문 새겨져 있다.

대좌 또한 당시의 대좌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상대의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은 내부에 꽃무늬가 장식된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다. 그리고 하대의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 역시 상대의 앙련과 같이 단순하게 표현되어 있지만 귀꽃 장식을 하여 단조로움을 피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중대의 간석은 배가 약간 부른 고복형으로 아무런 장식도 없이 지극히 단순하게 처리되어 있다. 복련 아래의 하대석 역시 亞자형의 형태만이 새겨져 있을 뿐 아무런 장식도 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대좌의 연꽃무늬라든지 광배의 소용돌이 구름무늬 그리고 불신의 정돈된 형태와 물결식 옷주름선 등은 당시 조각 수법의 전통을 답습한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당대의 불상으로서는 그 격이 떨어지는 것으로서 지방 장인의 솜씨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한국조각사(韓國彫刻史)』(문명대, 열화당, 1980)
집필자
김창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