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탄전 ( )

목차
관련 정보
영월탄전
영월탄전
산업
지명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일대에 걸쳐있는 무연탄전(無煙炭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일대에 걸쳐있는 무연탄전(無煙炭田).
내용

대한석탄공사(大韓石炭公社) 산하의 영월탄광과 민영탄광인 옥동탄광(玉洞炭鑛) · 한일탄광(韓一炭鑛)을 비롯한 대성(大成) · 태원(太原) · 대림(大林) 등 9개의 탄광을 포함한다.

지질은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을 기암으로 하여 곳곳에 반송층(盤松層) · 고방산층(高坊山層) · 양덕층(陽德層) · 홍점층(紅店層) · 율리층(栗里層)이 점재하고 있다. 영월군 북면 마차리의 영월탄광은 1935년부터 개발되어 1972년에 폐광될 때까지 영월 제일의 탄전으로 영월화력발전소(寧越火力發電所)에 연료탄을 공급하였다.

광복 후에 부설된 태백선은 영월탄전뿐만 아니라 정선탄전의 무연탄을 수송하였으며, 1957년에 완공된 함백선과 함께 석탄수송을 담당하고 생산증대에 공헌하고 있다. 총 7,306만8,000톤의 매장량을 보유하며, 이 중 가채량은 2,997만 8,000톤이고, 연생산량은 약 50만 톤 내외이다.

평균처리용량 320톤/D의 능력을 가진 선탄장(選炭場)에서는 300톤/D의 정탄(精炭)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들 중 74%는 가정용으로, 25%는 발전용으로 공급되고 있다.

무연탄의 질이 5,000㎈/㎏ 내외로 비교적 우수하나, 지체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탄맥을 찾는 어려움이 많은데다가 무연탄의 매장량이 적어 차차 채탄부위가 깊어지는 등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영세탄광의 통합, 기계화 등에 주력하고 있다.

참고문헌

『광업요람』(대한광업진흥공사, 1985)
『한국의 광산물』(대한광업진흥공사, 197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