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2책. 필사본. 편찬 연대는 미상이다. 권1에는 이방장(吏房掌)·호방장(戶房掌)·예방장(禮房掌)·교지지수절차(敎旨祗受節次) 등 각 부서에서 행해진 사례를 적은 영방사례책(營房事例冊)·전문봉진시표통서식(箋文封進時表筒書式)·각등진상선장정가식(各等進上膳狀呈家式)·초석봉서식(草席封書式)·수령변장천단식(守令邊將薦單式)·정가식(呈家式)·어람성책식(御覽成冊式)·비국건계록등식(備局件啓錄謄式)·비국관첩등식(備局關牒謄式)·외과서식(外裹書式)·순영정동의단자식(巡營呈同議單子式)·대가단자식(代加單子式)·무과규식(武科規式)·서사신상보첩식(書師身喪報牒式)·보장식(報狀式) 등 서식을 적은 각항정식(各項定式), 상하관상견례(上下官相見禮)·영관찰사의(迎觀察使儀)·알안집사례(謁安集使禮)·알비국당상례(謁備局堂上禮)·여순무사상견례(與巡撫使相見禮)·여어사상견례(與御史相見禮) 등 관원들의 의례와 첩정아문(牒呈衙門)·통궐아문(通闕衙門)·도계이통(到界移通)·원역(員役)·식례(式例)·금위어영군번상시잡비기(禁衛御營軍番上時雜費記)·각읍발로(各邑撥路)등 군영의 재정적인 보고와 관할 내 각 지역의 역로(驛路)·군액(軍額)·마필 등이 기록되어 있다.
권2에는 관둔전(官屯田) 등 재정적인 것을 기록한 호장(戶長)·이방·호방·예방·병방·형방·공방 등의 업무와 도서원(都書員)·전세색(田稅色)·대동색(大同色)·본대동색(本大同色)·부관색(傅關色)·동창(東倉)·진창(賑倉)·군기객사(軍器客舍)·어영색(御營色)·금위색(禁衛色)·포보색(砲保色)·의생(醫生)·진상색(進上色)·속오색(束伍色)·배파색(陪把色)·호적색(戶籍色)·빙고색(氷庫色)·고마색(雇馬色)·보역색(補役色)·군관청(軍官廳)·향청(鄕廳)·분진색(分賑色) 등 군영의 재정 및 운영에 관계된 잡다한 사항들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 군사 제도와 영의 구조·운영 및 재정 등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