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1.8m. 1984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상왕산(象王山) 영탑사 유리광전(琉璃光殿) 내에 모셔져 있는 약사여래상으로, 상왕산 연화봉(蓮花峰)에서 옮겨 온 것이다.
3m 규모의 자연 암석 면에 새겨져 있는 이 불상은 현재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자연 풍화되어 보존 상태가 그다지 좋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거구의 당당한 면모나 광배(光背: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를 대신하고 있는 자연석의 웅대하고 기이한 모습에서 강한 인상을 준다.
여래의 얼굴은 둥근 방형(方形: 네모반듯한 모양)으로 몸통에 비해 상당히 큰 편이다. 두부(頭部)에는 육계(肉髻: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나지막이 솟아 있다.
반듯한 이마 아래로는 활 모양의 눈썹이 선명하며, 반타원형의 두 눈은 반개(半開)하였다. 눈초리가 살짝 치켜 올라갔다. 양미간에서 뻗은 코는 우뚝한 편이다. 우묵한 인중(人中) 아래로는 적당한 크기의 입술을 부드럽게 다물고 있다.
좌우로는 활짝 펼쳐진 기름한 두 귀가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경계가 분명한 짧은 목에는 삼도(三道)가 새겨져 있다. 여래상은 전체적으로 보아 떡 벌어진 당당한 어깨에 좌폭이 상당히 넓어 균형 잡힌 안정감을 준다. 깊이 있는 조각 수법을 사용하여 입체감이 강조되었다. 어깨와 무릎의 둥근 실루엣을 통해서는 부드러운 양감을 드러내고 있다.
착의 형식을 살펴보면 양어깨를 감싼 통견(通肩: 어깨에 걸침.)으로 대의(大衣: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의 양 옷깃이 수직으로 늘어지고 있다. 가슴은 좁게 터 상당 부분 감추었으며, 다리의 옷주름 선과 무릎 위에 내려놓은 양손의 위치는 마멸되어 분명하지 않다.
영탑사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다. 고려 말에 무학대사(無學大師)가 이 사찰을 둘러보고 기이한 바위가 빛을 발하고 있음을 심상치 않게 여겨 여기에 약사여래상을 새겨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했다고 한다. 그 뒤로도 영험이 잇따라 치병(治病)을 비는 민간 신앙이 성했다고 한다. 불상의 조성 시기 또한 고려 말엽으로 보아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