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동 도림 강당 ( )

목차
관련 정보
오미동 도림강당
오미동 도림강당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조선시대 학자 김대현 관련 사당. 강당.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오미동도림강당(五美洞道林講堂)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2년 02월 24일 지정)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산읍 황소나무길 101 (오미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조선시대 학자 김대현 관련 사당. 강당.
내용

198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선 선조 때의 학자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과 그 아들 8형제의 위패를 모신 사당인 추원사(追遠祠)와 그에 딸린 강당으로 1805년(순조 5)에 건립되었다.

건물은 동향하고 있는 추원사의 남쪽 조금 낮은 곳에 동향으로 배치되었다. 평면은 정면 5칸, 측면 2칸인데, 중앙 3칸은 우물마루를 깔아 대청으로 꾸몄고, 양 퇴칸에는 통칸의 온돌방을 각각 두었다. 잡석 허튼층쌓기한 기단에 평평한 막돌 초석을 놓아 기둥을 세웠는데, 전면의 5개와 후면 정칸 좌우는 원주이며, 나머지는 방주이다.

대청의 상부가구는 5량가이며 주상에는 주두를 놓고 그 위에 대량과 팔모도리를 얹었는데, 자연스럽게 휜 대량을 놓고 그 위에 동자주(童子柱 : 세로로 세운 짧은 기둥)를 세워 종량을 받고 있으며, 종량 위에는 제형 판대공을 올려 종도리를 받도록 하였다.

지붕은 양 퇴칸의 온돌방 상부는 건물의 전후면으로 박공면이 보이는 박공지붕이고, 중앙 3칸은 양 퇴칸의 박공지붕보다 한 단 높게 앞뒤로 물매가 지워진 박공지붕을 올려 전체적으로 H자형의 용마루를 이루고 있다. 전체적으로 조선 후기의 건물로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는데, 특히 지붕구조가 특색이 있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경상북도, 198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일진(영남대학교, 건축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