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천현 관아 ( )

목차
관련 정보
보령 오천 수영관아 전경
보령 오천 수영관아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에 있는 조선시대 충청 수영의 관청.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오천수영관아(鰲川水營官衙)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1년 12월 03일 지정)
소재지
충남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에 있는 조선시대 충청 수영의 관청.
내용

1991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충청 수영청이 있던 오천현 관아 내에는 그 당시 많은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장교청(將校廳)과 빈민을 구제할 목적으로 곡식을 빌려주고 거두어들이던 청사건물인 정면 5칸, 측면 2칸에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된 진휼청(賑恤廳), 그리고 ‘公廨館(공해관)의 현판이 걸린 정면 3칸, 측면 1칸에 솟을삼문형태로 된 삼문 등 3동만이 남아 있다.

장교청은 1987년에 북문 동편 구릉지 정상에 다시 복원되었는데, 정면 4칸, 측면 2칸의 一자형 평면으로 되었다. 정면 4칸 중 우측 1칸에만 온돌방을 드리고 나머지 3칸통칸에 모두 우물마루를 깐 넓은 대청공간으로 만들었다.

구조는 1벌대의 자연석 기단 위에 방형과 원형 초석을 섞어 놓고 원형기둥을 세웠다. 건축양식은 전형적인 무출목(無出目) 2익공계통이며, 창방 위에도 건물 내 · 외방향으로 운공(雲工)이 끼워진 장화반(長花盤)을 3구 내지 4구씩 놓아 화려한 외관을 구성하였다.

지붕틀은 5량가구이며, 종량위에는 뜬 창방이 결구되어 있는 파련대공(波蓮臺工)을 세워 종도리와 함께 2중도리로 무거운 지붕 하중을 받도록 하였는데,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을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 지방행정의 중심지였던 관아 내의 여러 건물 중 전국적으로 객사나 동헌건물은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 그러나 장교의 직소(直所 : 숙직하는 곳)였던 장교청은 그 수가 많지 않아, 오천관아 내에 있는 장교청은 그러한 건축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유구로 그 의의가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