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고 ()

목차
관련 정보
신라의요고 / 감은사 출토 청동사리기
신라의요고 / 감은사 출토 청동사리기
국악
물품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타악기.
이칭
이칭
세요고(細腰鼓)
목차
정의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타악기.
내용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크기는 장구보다 훨씬 작다. 요고는 고구려 벽화, 신라의 사리함이나 범종, 석탑, 부도 등 고고학 자료에 많이 등장하고, 경기도 이성산성에서 실물이 출토된 사례도 있다. 요고의 역사는 문헌과 고고학자료에 의하여 추적될 수 있는데, 그 악기는 고구려음악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수서(隋書)』·『구당서(舊唐書)』·『신당서(新唐書)』에 의하면 요고는 중국에 소개되었던 고려기(高麗伎) 또는 고려악에서 여러 가지 다른 악기와 함께 연주되었다. 한편, 요고가 고구려에서 사용되었음이 집안 오회분 5호묘에 의하여 확인된다.

또한, 통일신라시대에도 계속 사용되었음이 감은사(感恩寺)의 청동제 사리기에 있는 조각 및 신라 범종에 새겨진 그림에 의하여 확인된다. 요고는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문헌에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더 이상 우리 나라에서 사용되지 않고 그 대신 장구로 대치된 듯싶다. 요고의 양쪽 가죽을 두 손으로만 치고 채로 치지 않는다.

참고문헌

『구당서(舊唐書)』
『수서(隋書)』
『신당서(新唐書)』
『동アジア악기고』(임겸삼, カワア악보, 1973)
『감은사지발굴조사보고서』(김재원·윤무병, 을유문화사, 1961)
『조선고적도보』(청운당, 191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송방송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