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봉관 ()

목차
관련 정보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에 있는 조선전기 청송군수 하담이 건립한 관청. 객사.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운봉관(雲鳳館)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0년 08월 07일 지정)
소재지
경북 청송군 청송읍 금월로 269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에 있는 조선전기 청송군수 하담이 건립한 관청. 객사.
내용

정면 6칸, 측면 3칸의 겹처마 맞배지붕건물. 1990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청송군 객사의 일부로, 1428년(세종 10)에 군수 하담(河澹)이 찬경루(讚慶樓)와 함께 건축한 것으로 1600년대, 1717년(숙종 43), 1812년(순조 12)에 각각 중건되었고, 1871년(고종 8)에 부사 윤현기(尹顯岐)가 중수한 바 있다.

용전천의 북안 암반 위에 남향하여 찬경루가 있고, 그 바로 후방에 운봉관이 서남향으로 앉아 있다. 잡석을 쌓은 기단 위에 자연석 초석을 놓고, 기둥은 대체로 좌측 반은 각주를, 우측 반은 원주를 사용하였다.

정면과 우측면의 주상에는 주두(柱頭)를 얹고 헛첨차에 외1출목을 둔 주심포양식으로 2단의 제공살미는 앙서형이고, 공포간에는 각 주칸에 1구씩의 초각 화반(花盤 : 주심도리 밑 장여를 받는 초새김한 받침)을 두었다. 배면의 주상 공포는 제공살미가 매우 길게 돌출되어 연꽃과 연봉 등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이 건물은 청송 객사의 동익사가 증 · 개축된 것으로 판단되며, 건물 정면 및 우측면의 공포는 조선 중기까지 올려볼 수 있는 모습이고, 배면쪽의 1칸이 증축된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은 조선 후기의 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경상북도, 199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일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