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한'은 생전에 지녔던 소망을 이루지 못한 채로 죽어 간 영혼과 관련된, 비교적 소극적인 경우가 있는가 하면, 씻기 어려운 원한을 품고 죽은 영혼의 경우처럼 매우 적극적인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느 경우이든 '원혼'은 사령(死靈)을 뜻하게 된다. 이 원혼에는 일반 영혼이 지닌 속성을 따라 불가시적(不可視的)이면서도 유형적(有形的)이라는 민간 신앙적 준수성이 작용하며, 여기에 다시 원혼이 지닌 특수성이 가중 작용한다. 이로부터 발생하는 가외성(可畏性)은 상당히 강하다. 더구나 원혼은 어떤 원한을 품고 떠도는 영(靈)이므로 그 행동 세계의 제한이 없다는 점과 불가항력적인 힘을 가진다는 점에서 민간 신앙적 강점을 지닌다. 그리하여 원혼의 비위를 거스름으로써 초래될지도 모를 재앙을 면하고자 여러 형태의 주술적 행위가 시도된다. 원혼이 지니고 있는 원과 한을 풀어 주기 위하여 갖은 애를 쓰며, 원혼을 정상적인 원혼으로 복원시키고자 한다.
대체로 원혼설화는 민속 신앙에서의 영혼관에 기반을 두고 생겨난 것으로 여겨지며, 죽은 사람일지라도 그 영혼은 생존인과 다를 바 없다는 사고 양식이 표출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억울한 일을 당해도 살아서는 말하지 못한 인물들이 죽어서 원귀가 되어서라도 자신의 주장을 적극적으로 말하고, 상대를 굴복시켜 자신의 정당성을 입증하고 있다. 이는 규범과 제도에서 억압된 인간적 본능을 긍정하고, 죽음의 원인이 된 사회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적극적인 문제 해결 의지를 보여 주는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이러한 민간 신앙적 사고에 바탕을 둔 원혼설화가 다수 발견되는데, 원혼 설화의 하위 유형별 대표 설화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손돌목(손돌바람, 손돌추위) 설화」, ② 「은산 별신당 설화」, ③ 「아랑계(阿娘系) 설화」, ④ 「안인진의 해랑당 설화」, ⑤ 「신립 설화」이다.
①은 품은 원한을 제대로 풀지 못하여 원혼이 제 성격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내용이다. ②는 원혼이 생존인의 꿈에 나타나 자신의 처지를 하소연하고 생존인이 원혼의 원한을 풀어 주어 원혼이 정상적인 영혼으로 돌아간다는 내용이다. 이 유형의 원혼은 이후 그 지방을 위하여 보은하는 일까지 한다. ③은 원혼이 비명횡사로 억울하게 죽은 ‘여성’이란 점이 특징이다. 이 계열의 설화에는 「장화홍련」 · 「밀양 아랑각 설화」 등이 있다. ④는 민간 신앙적 비중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계열의 설화는 우리 민속에서 처녀가 결혼을 못하고 일생을 마치면 원혼이 된다는 믿음을 기반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를 예방하기 위한 민속 신앙도 발견할 수 있다. ⑤는 신립이 임진왜란 때 탄금대전투에서 실패한 이유가 그에게 원한을 품은 여인이 원귀가 되었기 때문이라는 내용이다. 이와 유사한 유형으로 월천 · 남명 같은 유학자에게 처녀가 마음을 고백했다가 부정 당하고 죽자 뱀이 되어 상대를 굴복시켰다는 「상사뱀 설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