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랑 설화 ( )

구비문학
작품
억울하게 죽은 아랑이 원귀가 되어 자신의 원한을 푼 뒤 변고가 없어졌다는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아랑 설화」는 억울하게 죽은 아랑이 원귀가 되어 자신의 원한을 푼 뒤 변고가 없어졌다는 설화이다. 아랑이 억울하게 죽은 후 부사에게 나타나 신원을 호소하자 놀란 부사들이 연이어 사망했지만 마침내 담대한 인물이 부사가 되어 원귀의 사연을 듣고 범인을 잡아 원한을 풀어주었다는 대표적인 원혼·신원 설화이다. 밀양에는 아랑을 기리는 사당인 아랑각이 있으며 현재까지 아랑을 제향하고 있다.

키워드
목차
정의
억울하게 죽은 아랑이 원귀가 되어 자신의 원한을 푼 뒤 변고가 없어졌다는 설화.
개설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超人譚)에 속하며, 원령 설화(怨靈說話)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경상남도 밀양에서 전승된다. 홍직필의 「기영남루사(記嶺南樓事)」(1810)뿐 아니라 배극소(裵克紹)의 과체시(科體詩)에서도 그 내용을 찾을 수 있으며, 19세기 야담집인 『청구야담』, 『동야휘집』, 『금계필담』에도 실려있다. 손진태(孫晋泰)가 ‘아랑 설화’라고 제목을 붙였는데, 그 유래는 정인섭(鄭寅燮)『온돌야화(溫突夜話)』에서 연유한다.

내용

아랑이라는 규수가 태수가 된 아버지를 따라 밀양에 갔다. 어느 날 그 고을 통인과 유모의 음모에 휘말려 영남루에 나갔다가 통인에게 욕을 당하게 되었다. 전력을 다하여 항거한 아랑은 끝내 통인에게 피살되고 그 시체는 강가 숲으로 던져졌다. 별안간 딸을 잃은 아버지는 태수직을 사퇴하고 서울로 돌아갔다. 그 뒤로 새로운 태수가 부임할 때마다 그날 밤중에 귀신이 나타나 신원을 호소하자, 놀란 태수들은 기절하여 죽고 말았다. 밀양 태수로 가고자 하는 자가 없자, 조정에서는 자원자를 구하여 내려 보냈다.

신임 태수가 밀양에 도착한 날 밤에 촛불을 밝히고 책을 읽고 있었는데, 갑자기 음산한 바람이 일며 방문이 열리고, 산발한 채 가슴에서 피를 흘리는 여인이 목에 칼을 꽂은 채 나타났다. 그 여인은 아랑으로, 태수에게 자신의 억울한 죽음을 호소하고 그 범인인 통인의 이름을 가르쳐 준다. 신임 태수는 이튿날 범인을 잡아 처형하였더니 그 뒤로는 신임 태수가 변을 당하는 일이 없어졌다.

현황

손진태는 『조선민족설화의 연구』에서 이러한 계열의 설화를 ‘아랑형전설(阿娘型傳說)’이라 이름을 짓고 다각도로 살핀 바 있다. 그에 따르면, 이런 유형은 중국 설화에 널리 있는 것으로 중국에서는 ‘아랑(阿娘)’이 ‘해랑(解娘)’으로 나타난다고 하며, 「아랑 설화」의 원천적 문헌으로서 송나라 홍매(洪邁)의 『이견지(夷堅志)』 소재의 「해삼랑전설(解三娘傳說)」의 전문을 인용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역관(驛館)이나 역정(驛亭)에서도 항상 귀신이 머무르고 있는데, 그곳에 묵는 자들이 변사하는 내용의 이야기가 많은 것에서 유추하여 우리나라의 「아랑 설화」가 중국 설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우리나라의 「아랑 설화」는 밀양을 본고장으로 지리적 배경이 고정되어 있고, 실제로 밀양에 아랑각(阿娘閣)이 있어 더욱 설화의 진실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19세기 야담집과 한시에서 등장하듯, 「아랑 설화」는 영남 문인들 사이에 회자되었는데, 남성들이 아랑 서사를 정순(貞純)의 서사로 전유할 때 『청구야담』에서는 사건을 해결하는 주체를 밀양 부사의 부인으로 바꾸며 여성의 죽음에 대한 공분의 정서를 보다 담아내기도 했다.

후대로 올수록 「아랑 설화」는 원귀 출현이라는 공포가 강조되기도 했는데, 이런 계열의 설화가 원혼설화의 성격으로 굳어져 「장화홍련전」과 같은 소설로 작품화되기도 했다. 「아랑 설화」는 현재까지 영화, 드라마, ‘밀양아리랑대축제’같은 지역 축제에서 형상화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손진태, 「아랑형전설」(『조선민족설화의 연구: 민족설화의 문화사적 연구』, 을유문화사, 1947)

논문

김영희, 「밀양아랑제(현 아리랑대축제) 전승에 대한 비판적 고찰-돌아오지 못하는 아랑의 넋, 구천을 떠도는 그녀의 목소리-」(『구비문학연구』 24, 한국구비문학회, 2007)
류정월, 「문헌 전승 <아랑설화> 연구」(『인문학연구』 25,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정출헌, 「영남루와 아랑: 아랑 서사의 탄생과 그 변주」(『대동한문학』 52, 대동한문학회, 201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