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창(南滄) 손진태(孫晋泰)는 1900년 12월 28일 경상남도 동래군 사하면 하단리 남창 마을에서 손수인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다섯 살 때 해일로 어머니를 여의고 구포에서 쌀가게를 운영하는 큰어머니 댁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921년 중동학교를 졸업하고 유학길에 올라 와세다대학 부설 와세다고등학원에 입학했다. 삼 년의 수학 과정을 마치고 1924년 봄 와세다대학 문학부 사학과에 진학해 1927년에 졸업했다. 이어 제도(帝都) 도쿄에 거주하며 조선민속학의 전문가로 활약했다. 1932년 말에 세계 굴지의 동양학 전문도서관인 동양문고에 사서로 취임해 일 년 남짓 근무했다.
1934년 봄, 동양문고를 퇴직하고 조선으로 돌아와 연희전문학교에 강사로 출강했다. 다음 학기부터 보성전문학교 도서관 사서로 근무하며 문명사를 강의하기 시작했다. 이윽고 1937년에 동교(同校) 전임강사로 임용되어 도서관장을 맡았다. 광복 직후 경성대학 사학과 교수를 거쳐 1946년 서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문교부 차관 겸 편수국장을 맡았다. 이듬해인 1949년에 서울대학교 문리대 학장, 1950년에 사범대 학장을 역임했다. 한국전쟁 중에 납북되어 이후의 행적은 명확하지 않다. 덧붙여, 1932년 연영화와 결혼해 슬하에 장남 손대인과 차녀 손경수를 두었다.
우선 도일(渡日) 직후의 문예 활동이 돋보인다. 1923년에 창립된 색동회와 시 동인지 『금성(金星)』의 핵심 멤버로 『어린이』와 『금성』에 ‘역사동화’를 비롯한 창작시, 번역시 등을 다수 발표했다. 그리고 1920년대 중반에 와세다대학에서 역사학과 함께 인류학, 민속학을 본격적으로 수학하며 방학 때마다 조선의 농 · 산촌으로 민속 자료를 수집하였다. 동시에 동양문고를 드나들며 조선의 민풍토속(民風土俗)에 관한 동양의 문헌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고 그 분석에 필요한 서양의 전문 서적들을 독파한다. 이러한 동서양의 문헌 섭렵과 현지 조사로 수집한 민속 자료를 바탕으로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중반에 걸쳐 한민족의 형성 과정과 민족문화의 기초 구성을 탐구하였다. 이에 혼합민족설을 전제로 조선 상고문화(上古文化)의 기원과 계통 및 변천 과정을 천착한다.
또한 1930년대에는 조선민속학회, 진단학회와 같은 학술 단체의 설립과 운영에도 힘을 쏟는다. 특히 후자의 경우 귀국 직후의 창립 총회에서 손진태는 김태준, 이병도, 이윤재, 이희승, 조윤재와 함께 ‘상무위원’으로 선임되어 줄곧 회무(會務)를 관장한다. 광복 후에는 일제강점기에 발표한 조선민속학의 성과들을 매만져 단행본을 상재한다. 그리고 신민족주의 사관을 주창하며 우리 민족사에 관한 연구 성과들을 집성하고 역사 교과서를 저술한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문교부 편수국장과 차관을 겸직하며 신민족주의 교육 정책의 입안과 실행을 주도한다.
손진태의 학문은 일제강점기의 조선민속학과 광복 후의 신민족주의사학으로 대별된다. 전자를 대표하는 저술로 『조선신가유편』(1930)과 『조선민담집』(1930), 『조선민족설화의 연구』(1947), 『조선민족문화의 연구』(1948)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중 『조선민족문화의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발표한 18편의 주요 논문을 수정하고 첨삭한 것으로, 신민족주의의 세례로 거듭난 ‘민족문화학’의 성과로 주목된다. 손진태는 『조선민족문화의 연구』 서문에서 자신이 일제강점기에 추구한 민속학이란 학문의 명칭을 ‘민족문화학’으로 바꿔 부르고 싶다고 말한다. 또 이 책에 수록한 주요한 18편의 저본(底本)을 동학들에게 보지 말라고 당부한다. 자신의 방법론에 상당한 변화가 있어 과거의 논문은 전면적으로 일단 폐기하려는 의도라고 그 까닭을 밝히기도 한다.
후자의 대표적 성과는 『조선민족사개론(상)』(1948)과 『국사대요』(1949)이다. 제목과 같이 우리 민족사를 개설하고 국사의 대강령을 논술한 내용이다.
손진태를 둘러싼 사상적 쟁점은 위의 두 개설서에서 강조된 신민족주의의 정치성으로 수렴되는데 그 요점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즉 반(反)식민주의 사관으로서의 신민족주의와 해방 공간의 중도적 정치 이념으로서 신민족주의, 이 양자의 당부(當否)가 핵심적인 논점이다. 종래의 손진태 연구에서 일반화한 이 두 가지 통설에서 실증적인 고찰로 여러 이견(異見)이 제기된 바 있다. 가령 1920, 1930년대에 펼쳐진 손진태의 민족문화론을 일제 만선사학(滿鮮史學)과의 관계 속에서 재고함으로써 타율 사관을 추수해 버린 그의 부끄러운 과거가 광복 후 신민족주의에 기초한 ‘민족문화학’에서 어찌 조만동조론(朝滿同朝論)으로 소거되는지를 천착한 성과, 그리고 신민족주의를 좌우합작 계열이 아닌 정통 우파나 극우적 정치 이데올로기로 자리매김한 성과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