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곡도 ()

목차
관련 정보
교통
제도
조선시대 경상도 문경의 유곡역(幽谷驛, 聞慶)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목차
정의
조선시대 경상도 문경의 유곡역(幽谷驛, 聞慶)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내용

중심역은 찰방이 주재하였다. 관할범위는 문경-함창-상주-선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역로와 문경-용궁-비안-군위 방면으로 이어지는 역로이다.

이에 속하는 역은 문경의 야성(耶城), 함창의 덕통(德通), 예천의 수산(守山), 상주의 낙양(洛陽)·낙동(洛東)·낙원(洛源)·낙서(洛西)·장림(長林)·낙평(洛平), 선산의 상림(上林)·연향(延香 또는 迎香)·구미(仇彌 또는 龜尾), 비안의 쌍계(雙溪)·안계(安溪), 용궁의 대은(大殷)·지보(知保), 군위의 소계(召溪) 등 18개 역이다.

이 가운데유곡·야성·덕통·낙양·낙원역 등은 중로(中路) 또는 중역(中驛)에 속하는 역이었고, 그 밖의 역은 소로(小路) 또는 소역(小驛)에 속하는 역이었다. 그리고 이 역도는 1894년 갑오경장 때까지 존속하였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경국대전』
『대전회통』
『대동지지』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방동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