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제형 가옥 ( )

목차
관련 정보
아산 윤제형 가옥
아산 윤제형 가옥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있는 대한제국기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사랑채가 ㅁ자형으로 배치된 주택.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윤제형가옥(尹堤亨家屋)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86년 11월 19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아산시 해위길52번길 21-10 (둔포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에 있는 대한제국기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사랑채가 ㅁ자형으로 배치된 주택.
내용

1986년 충청남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집은 1900년경에 윤경선이 건립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ㄱ자형의 안채와 ㄴ자형의 사랑채가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튼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안마당 동편가에 곳간채가 있다.

그리고 안채 좌측 전면에도 정면 4칸, 측면 2칸에 대청과 방, 부엌 등을 드린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된 별채가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 동편과 곳간채 사이에 담을 쌓아 안마당과 구분되는 아늑한 사랑마당을 조성하였고 중문을 들어서자 마자 안채가 보이지 안도록 안마당 앞쪽에 담장을 세워 안을 가렸다.

ㄱ자형으로 된 안채는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우측에는 앞에 툇마루를 둔 건넌방을 드렸는데 이 툇마루를 높여 그 아래에 온돌아궁이의 함실을 설치하였고 이 방에 다시 좁은 1칸의 툇마루를 붙여 안사랑의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그리고 좌측에는 작은 골방이 각각 달려 있는 1칸씩의 안방과 윗방을 드렸는데 방 사이에 사분합 미닫이문을 달아 필요할 때는 전체를 넓은 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어서 2칸의 넓은 부엌을 드렸는데 여기에는 조리공간과 저장공간 등이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

구조는 자연석으로 쌓은 낮은 기단 위에 덤벙주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웠는데 이 기둥에 걸쳐 퇴보와 대들보를 걸은 후 그 위에 종보를 갖춘 1고주 5량가구로서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올렸다.

그리고 바깥마당에 접해 있는 사랑채는 정면 7칸, 측면 2칸에 다시 안채쪽으로 꺽어 정면 1칸, 측면 1칸을 덧붙인 ㄴ자형 평면인데 중앙에 안채로 들어가는 1칸의 중문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1칸씩의 광과 마루방, 문간방을 드려 행랑채의 기능을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중문의 우측에는 2칸의 큰사랑방과 1칸의 사랑대청을 드린 후 다시 꺾이어 1칸의 작은 사랑방을 드렸다. 특히 큰사랑방과 대청 앞에 툇마루를 두어 안채를 거치지 않고 밖에서 직접 사랑방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가장이 주로 사용하는 사랑채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하였다.

구조는 자연석 기단 위에 덤벙주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운 후 이 기둥에 걸쳐 퇴보와 대들보, 그리고 종보를 걸은 1고주 5량가구로서 홑처마 팔작지붕을 이루고 있다. 안채와 행랑채를 겸한 사랑채가 튼ㅁ자향으로 배치되면서 여기에 곳간채와 별당채가 한데 어우러져 매우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주고 있다.

특히 안주인이 주로 사용하는 안채는 뒤에 배치하고 가장이 주로 사용하는 사랑채는 입구 쪽에 놓아 안채를 거치지 않고 밖에서 직접 사랑방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계획된 점이 주목되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