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지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예조참판, 전라도관찰사, 경기감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군옥(君玉)
하빈옹(河濱翁)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00년(선조 33)
사망 연도
1644년(인조 22)
본관
해평(海平)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예조참판|전라도관찰사|경기감사
정의
조선 후기에, 예조참판, 전라도관찰사, 경기감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군옥(君玉), 호는 하빈옹(河濱翁). 영의정 윤방(尹昉)의 손자로, 해숭위(海崇尉) 윤신지(尹新之)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선조의 딸 정혜옹주(貞惠翁主)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19년(광해군 11) 20세 때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권지정자·설서를 거쳐 시강원사서에 이르렀으나 광해군의 난정을 보고 관직을 사퇴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사헌부·사간원·홍문관 삼사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수원부사가 되었을 때 중국의 『여씨향약(呂氏鄕約)』을 본떠 덕화(德化)와 상호협조를 위한 교조(敎條)를 만들어 백성에게 도덕을 선양하여 교화시키고 지방자치정신을 배양하는 데 힘썼다.

또한, 부병(府兵) 3,000명을 새 장정으로 교체하고 훈련을 강화하는 한편, 군기(軍器)를 정비하여 군사력 강화에 힘을 기울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성균관으로 달려가 생원들과 힘을 합하여 동무(東廡)·서무(西廡)에 모신 선현의 위패를 산에 묻고, 다시 오성(五聖)·십철(十哲)의 위패를 남한산성으로 모셔 분향행례를 계속하였다. 뒤에 예조참판을 거쳐 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

그러나 1638년 할아버지 윤방이 병자호란 때 강화도로 모시고 간 사위(社位) 40여주 가운데 왕후의 신위 하나를 분실한 책임이 논죄되고 그 죄목으로 할아버지가 황해도 연안으로 귀양가게 되어 속죄의 뜻으로 관찰사의 사직을 주청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도리어 경기감사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유학을 몸소 실천한 유학자로 글씨도 뛰어났다.

참고문헌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인조실록(仁祖實錄)』
집필자
홍순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