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가정의 제사에 있어서도 음복례는 있으나 종묘대제(宗廟大祭)나 문묘대제(文廟大祭) 등에서는 초헌관의 위치와 행위 및 대축(大祝)이 취할 행위 등이 규정되어 있다.
석전(釋奠)의 음복례에서는 종헌관(終獻官)이 예(禮)를 필한 뒤에 집례(執禮)가 창홀(唱笏)하여 ‘음복수조(飮福受胙)’라 하면 대축이 문선왕(文宣王)의 준소(尊所)에 나아가서 복주(福酒)를 술잔에 옮겨 붓고 앞에 놓여 있는 포(脯)를 덜어내면 알자(謁者)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음복위(飮福位)에 올라가 서쪽을 향하여 꿇어앉는다.
대축은 초헌관의 왼쪽에서 북향하고 잔[爵]을 초헌관에게 올리면 초헌관은 술잔을 받아서 술을 조금 마신 뒤에 술잔을 돌려준다. 대축이 이 술잔을 받아서 탁상에 올려놓고 다시 제기(祭器)를 초헌관에게 전하면 초헌관이 제기를 받아서 집사자에게 준다.
집사자는 이것을 받아들고 계단으로 내려서 출문(出門)하고 알자는 집홀(執笏)을 돕는다. 초헌관은 부복하였다가 일어나(平身) 알자를 따라서 원위치로 내려 온 뒤에 집례가 사배(四拜)를 창홀하면 참례자 일동이 사배를 하고 음복례는 끝이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