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높이 4.05m, 불상 높이 4.05m. 1982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마애불입상은 사찰 진입로 개울가에 솟아 있는 수직 암벽에 동향하여 조각되어 있다. 현재 암반의 전면을 가로질러 길게 균열이 가 군데군데 틈새가 벌어진 상태이다. 축대를 쌓고 별도의 예배석(禮拜石)을 설치하였다.
4m가 넘는 거불(巨佛)로 상체는 둘레를 얇게 파낸 후 고부조[高浮彫 : 높은 돋을새김]로 처리하여 입체감이 두드러진다. 아래로 가면서는 차차 약화되어 선각[線刻 : 선으로 새김]에 그치고 있다. 불상의 얼굴은 비만한 방형[方形 : 네모반듯한 모양]으로, 신체에 비해 다소 커다란 편이다.
넓은 이마에는 관모[冠帽 : 벼슬아치들이 쓰던 모자]를 쓰고 있다. 반원을 그리고 있는 양 눈썹은 윤곽이 분명하다. 눈두덩과 두 눈의 표현은 다소 희미하나 미간에서 곧바로 이어지는 넓적한 코가 친근감을 준다. 두툼한 입술은 아래위를 살짝 눌러 지긋이 다물고 있다. 빚은 듯한 양 귀는 어깨까지 늘어졌다. 양 뺨이 부푼 후덕한 모습이다.
살이 많이 오른 장대한 어깨에는 양어깨를 감싸는 통견(通肩) 형식의 대의가 걸쳐져 있다. 옷주름의 표현이 상당히 형식화되고 있다.
가슴 앞으로는 날카로운 이중의 V자형 옷자락 무늬가 늘어지고 있다. 그리고 양 소맷자락과 하단부에도 몇 줄의 규칙적인 사선 주름이 거칠게 접혀지고 있다. 이를 제외하고는 거의 평판적인 소략한 착의 형태를 보여 준다.
손 모양 또한 전반적인 마멸로 인하여 형태 파악이 상당히 어렵다. 손바닥을 안으로 향하고 있는 오른손의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왼손은 새끼손가락을 펴고 있어 아미타설법인(阿彌陀說法印)을 결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은 원만한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와 착의 형식, 약한 조각 수법으로 미루어 볼 때, 1973년 법당 정리 작업 도중 출토된 미타사 소재의 금동불상과 동시대인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