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미타사 마애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음성 미타사 마애여래입상
음성 미타사 마애여래입상
조각
유적
문화재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미타사 입구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높이 4.05m의 마애불.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미타사 입구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높이 4.05m의 마애불.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전체 높이 4.05m, 불상 높이 4.05m. 1982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마애불입상은 사찰 진입로 개울가에 솟아 있는 수직 암벽에 동향하여 조각되어 있다. 현재 암반의 전면을 가로질러 길게 균열이 가 군데군데 틈새가 벌어진 상태이다. 축대를 쌓고 별도의 예배석(禮拜石)을 설치하였다.

4m가 넘는 거불(巨佛)로 상체는 둘레를 얇게 파낸 후 고부조[高浮彫 : 높은 돋을새김]로 처리하여 입체감이 두드러진다. 아래로 가면서는 차차 약화되어 선각[線刻 : 선으로 새김]에 그치고 있다. 불상의 얼굴은 비만한 방형[方形 : 네모반듯한 모양]으로, 신체에 비해 다소 커다란 편이다.

넓은 이마에는 관모[冠帽 : 벼슬아치들이 쓰던 모자]를 쓰고 있다. 반원을 그리고 있는 양 눈썹은 윤곽이 분명하다. 눈두덩과 두 눈의 표현은 다소 희미하나 미간에서 곧바로 이어지는 넓적한 코가 친근감을 준다. 두툼한 입술은 아래위를 살짝 눌러 지긋이 다물고 있다. 빚은 듯한 양 귀는 어깨까지 늘어졌다. 양 뺨이 부푼 후덕한 모습이다.

살이 많이 오른 장대한 어깨에는 양어깨를 감싸는 통견(通肩) 형식의 대의가 걸쳐져 있다. 옷주름의 표현이 상당히 형식화되고 있다.

가슴 앞으로는 날카로운 이중의 V자형 옷자락 무늬가 늘어지고 있다. 그리고 양 소맷자락과 하단부에도 몇 줄의 규칙적인 사선 주름이 거칠게 접혀지고 있다. 이를 제외하고는 거의 평판적인 소략한 착의 형태를 보여 준다.

손 모양 또한 전반적인 마멸로 인하여 형태 파악이 상당히 어렵다. 손바닥을 안으로 향하고 있는 오른손의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왼손은 새끼손가락을 펴고 있어 아미타설법인(阿彌陀說法印)을 결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은 원만한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와 착의 형식, 약한 조각 수법으로 미루어 볼 때, 1973년 법당 정리 작업 도중 출토된 미타사 소재의 금동불상과 동시대인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음성군의 역사와 문화유적』(충주산업대학교박물관, 1996)
『충청북도지』(충청북도, 1992)
『사지』(충청북도, 1982)
집필자
최성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