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98㎝.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관덕리 마을 뒷산 약 100m 지점에 탑과 함께 조성되어 있다. 상은 현재 불두(佛頭)와 불신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돌의 마모 상태 등으로 미루어 보아 한 조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정확한 양식 파악은 어렵다. 목이 잘린 부분을 상정한다면 비례감이 적절하고 단아한 느낌이 든다.
불상은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수인(手印)은 일반적으로 쉽게 볼 수 있는 형식이 아니다. 머리 위에 표현된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는 왜소한 편이다. 머리는 나발(螺髮 : 부처의 머리카락.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린 모양)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는 마모가 심하여 이목구비의 구체적인 표현이 어떠했는지 알 수는 없다. 불신과 비교하여 볼 때 적당한 크기를 하고 있다. 목은 비교적 굵은 느낌으로 삼도(三道)의 표현이 뚜렷하다.
불신의 어깨는 적당하게 살이 찐 형태로 부드럽게 처리되어 있다. 팔의 비례감도 사실적이다. 반면 허리는 잘록한 편이 아니어서 가슴과 허리의 구분선이 거의 없는 수직선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가슴에서 내려오는 윤곽은 양 무릎으로 이어지면서 분명한 구분이 없이 모호한 형태로 처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착의의 형식은 우견 편단(右肩偏袒 : 오른쪽 어깨가 드러남)으로, 옷주름은 마모로 인하여 분명하진 않다. 그러나 자연스러우면서도 유려하게 처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슴에는 영락(瓔珞 :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 장식이 있으며, 양팔에는 팔찌 장식이 있어 보살상으로 보기도 한다. 불신 배면에는 깊이 7㎝, 가로 6.5㎝, 세로 7㎝의 광배공(光背孔)이 남아 있다.
불상의 형식을 취하면서 영락 장식을 하고 있는 이 불상과 같은 예는 동화사비로암(桐華寺毘盧庵)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금동판에 새겨진 사방불 중에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의 존상은 인도 · 중앙아시아 · 중국 · 동남아시아 등지에서는 8세기에 유행하던 형식으로 여러 예들이 남아 있다.
중국 당나라 현장(玄奘)은 그의 저서 ≪대당서역기 大唐西域記≫에서 인도 여행 중 보드가야의 보리수(菩提樹) 아래에 실견했던 정각상(正覺像)을 기록하여 묘사하기를 “보관을 착용하고 각종 영락 장식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모습의 존상을 보리수 아래의 정각상으로 비정하고 있다.
만약 이 존상이 비록 보관은 착용하지 않았지만 목걸이나 팔찌 등 영락 장식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맥락에서 조성된 것이라면 통일신라와 인도, 혹은 중국과의 문화 교류 관계를 알 수 있는 좋은 예라고 하겠다. 반면 동화사 보관불상과 관련된다면 밀교적(密敎的)인 관점에서 이해해야 할 것 같다.
한편 어깨를 부드럽게 처리한 점이나 가슴과 허리선이 거의 구분되지 않은 점 그리고 전체적으로 주는 단아한 느낌에서 불상의 조성 시기는 통일신라시대 9세기 전반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