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관징 ()

이관징 글씨
이관징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헌, 경연관, 보양관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국빈(國賓)
근옹(芹翁), 근곡(芹谷)
시호
정간(貞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18년(광해군 10)
사망 연도
1695년(숙종 21)
본관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주요 관직
사헌부장령|승지|대사헌|경연관|보양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헌, 경연관, 보양관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국빈(國賓), 호는 근옹(芹翁)·근곡(芹谷). 이주(李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창정(李昌庭)이다. 아버지는 이심(李示+尋)이며, 어머니는 이민환(李民寏)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39년(인조 17) 사마시에 합격하고, 성균관 유생으로서 뛰어난 재질을 보여 천거로 참봉이 되고, 1653년(효종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 사헌부장령이 되었다.

1660년(현종 1) 효종이 죽자, 효종의 계모인 조대비(趙大妃)의 복상문제가 있을 때 당시 기년설(朞年說: 만1년)을 주장한 송시열(宋時烈) 등 서인에 대하여 만3년설을 주장하다가 쫓겨난 남인 허목(許穆) 등을 구제하려다가 전라도도사로 좌천되었다.

1664년 다시 장령이 되고, 1672년 승지가 되었다. 1674년 숙종이 즉위하여 남인이 집권하자, 이듬해 대사성·대사헌을 지내는 한편, 경연관(經筵官)이 되어 숙종의 신임을 얻었다.

1680년(숙종 6)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1689년 예조판서를 거쳐, 세자와 세손을 교육하는 보양관(輔養官)에 임명되었다. 그 뒤 이조판서를 지내고 행판중추부사(行判中樞府事)로 치사(致仕)하고,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1694년에 노론인 김춘택(金春澤) 등이 숙종의 폐비 민씨의 복위운동을 일으킴으로써 노론과 소론 일파를 제거하려던 남인들이 오히려 참화를 당한 갑술옥사가 일어나자, 앞서 1689년에 일어났던 기사환국 때의 발계인(發啓人: 장계를 발의한 인물)으로 삭출(削黜)되었다.

해서(楷書)에 일가를 이루었고, 만년에는 김생(金生)의 필법을 연구하였다. 저서로는 『근곡집(芹谷集)』이 있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현종실록(顯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청선고(淸選考)』
『박천집(博泉集)』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