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목사, 병마사, 문하평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진사|목사|병마사|문하평리(門下評理)|정조사(正朝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목사, 병마사, 문하평리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을 평정하고, 왕이 남으로 피난가면서 매장하였던 춘추사적(春秋史籍)·전교제향(典校祭享)의 의궤(儀軌)을 발굴하였는데, 유구(柳玽)·임박(林樸)과 함께 “국전(國典)은 가히 인멸(湮滅)하게 할 수 없다.”라 하여 살피고 검사하여 거두고 모은 것이 열에 둘 뿐이었다.

1363년 충혜왕의 아들 왕석기(王釋器) 등의 모반음모를 고하지 않은 죄로 순위부(巡衛府)에 하옥되어 국문(鞫問)을 받았다.

1370년 11월 원나라가 망하자 기새인첩목아(奇賽因帖木兒)·김백안(金伯顔) 등이 동녕부(東寧府)에 웅거하여 북쪽 변방을 침입하므로, 이성계(李成桂), 서북면상원수 지용수(池龍壽) 등과 함께 병마사로서 참전하였다.

1387년(우왕 13) 8월 문하평리(門下評理)로서 지밀직(知密直) 이종덕(李鍾德)과 함께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갔으나 명나라의 거부로 요동에 이르러 들어가지 못하고 11월 돌아왔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