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

목차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때, 숙위학생으로 당나라에서 유학하여 빈공과에 급제하였으며, 훗날 신라와 발해의 쟁장사건의 발단이 된 통일신라의 학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미상
관련 사건
빈공과 쟁장사건(賓貢科爭長事件)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때, 숙위학생으로 당나라에서 유학하여 빈공과에 급제하였으며, 훗날 신라와 발해의 쟁장사건의 발단이 된 통일신라의 학자.
내용

이동은 869년(경문왕 9)에 왕자인 사은겸진봉사(謝恩兼進奉使) 소판(蘇判) 김윤(金胤)을 따라 당나라에 들어가 국학(國學)에 입학하여, 875년 당나라 예부시랑 최항(崔沆) 아래에서 빈공과(賓貢科)에 급제하였다.

이 때 함께 응시한 발해의 유학생 오소도(烏昭度)가 수석합격을 하고 이동이 차석을 차지함으로써 신라와 발해의 빈공과 쟁장사건(賓貢科爭長事件)의 발단이 되었다. 이로 인하여 신라는 906년에 실시된 빈공과에서 최언위(崔彦僞)가 오소도의 아들 오광찬(烏光贊)을 누르고 수석으로 합격할 때까지 30여년간 커다란 수치감과 굴욕감을 인내해야 하였다.

최언위의 수석 차지는 마침 당나라에 사신으로 가 있던 오소도의 항의를 불러일으켜서, 이른바 신라와 발해의 당 빈공과 쟁장사건으로 번져 그뒤 양국의 관계를 더욱 경쟁적으로 만들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동사강목(東史綱目)』
『신라골품제사회(新羅骨品制社會)와 화랑도(花郎徒)』(이기동, 한국연구원, 1980)
『渤海國志長編』(金毓黻, 華文書局, 193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