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아』는 13경의 하나로, 문자의 뜻을 고증하고 설명하는 사전적인 성격을 지녔다. 『한서』 예문지에는 20편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지금 전하는 것은 19편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의 작자를 ‘주공’, 혹은 ‘공자 문하’의 저술이라고 하는데 모두 고증할 수 없다. 명나라의 조환광은 ‘이’가 꽃 이름이고, ‘아’는 새 이름으로서, 사물 이름 및 경전을 가르칠 때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이규경은 “『이아』 1만 791자는 경전을 읽을 때에 문자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 먼저 읽어야 할 책”이라고 강조하였다.
문자의 뜻을 고증하고 설명하는 사전적인 성격을 지닌 책이다.
한나라의 유희(劉熙)는 ‘이아’라는 명칭의 뜻을 설명해 ‘이’자는 가깝다는 뜻이고, ‘아’자는 바르다는 뜻으로, 말의 뜻을 이해할 때 가깝고 바른 것을 기준으로 삼아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였다.
명나라의 조환광(趙宦光)은 ‘이’가 꽃 이름이고, ‘아’는 새 이름으로서, 새나 짐승과 풀이나 나무 및 경전을 가르칠 때 도움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이 책의 작자를 주공(周公)이라 말한 학자로는 후위(後魏)의 장읍(張揖)이나 당나라의 육덕명(陸德明)을 들 수 있다. 또한 어떤 학자는 공자(孔子) · 자하(子夏)와 숙손통(叔孫通) · 양문(梁文) 등이 증보했다 하나 모두 고증할 수 없는 전승일 뿐이다.
송나라의 구양수(歐陽修)는 공자 문하의 저술이 아니라고 보고, 문리로 보아 진 · 한시대의 『시경』을 해석했던 여러 학자들의 설을 모아놓은 것으로 보았다. 또한 송나라의 섭몽득(葉夢得)은 『시경』의 문자를 위주로 했고 해석은 『모시(毛詩)』의 설에 의거한 점에서 한나라 사람이 지은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이 책을 검토하면서 여러 경전에서 널리 채집하고 제자백가의 문자도 섞었으며, 주(周)나라 목왕(穆王)의 기사를 소설로 표현한 「목천자전」과 고대지리서인 『산해경』의 내용도 채용하고 있는 사실에서 진 · 한 이래 문자학을 하던 소학가(小學家)가 잡다하게 수집한 것이라 보고 있다.
이 책은 『한서』 예문지에는 20편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지금 전하는 것은 석고(釋誥) · 석언(釋言) · 석훈(釋訓) · 석친(釋親) · 석궁(釋宮) · 석기(釋器) · 석악(釋樂) · 석천(釋天) · 석지(釋地) · 석구(釋丘) · 석산(釋山) · 석수(釋水) · 석초(釋草) · 석목(釋木) · 석충(釋蟲) · 석어(釋魚) · 석조(釋鳥) · 석수(釋獸) · 석축(釋畜)의 19편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이 존중되기 시작한 것은 『한서』 예문지에서 육예류(六藝類)에 속한 것으로 『효경』 뒤에다 수록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진(晉)나라의 곽박(郭璞)이 10여 학자의 설을 집성하면서 여러 주석들이 나왔다. 여기에는 곽박의 주와 송나라 형병(邢昺)의 소로 이루어진 『이아주소(爾雅注疏)』(11권), 송나라 때 정초(鄭樵)가 지은 『이아주(爾雅注)』(3권), 나원(羅願)이 지은 『이아익(爾雅翼)』(32권)이 있다.
또한 청나라 때 강조석(姜兆錫)이 지은 『이아보주(爾雅補注)』(6권), 소진함(邵晉涵)이 지은 『이아정의(爾雅正義)』(20권), 학의행(郝懿行)이 지은 『이아의소(爾雅義疏)』(10권), 대진(戴震)이 지은 『이아문자고(爾雅文字考)』, 임영종(任領從)이 지은 『이아주소전보(爾雅注疏箋補)』 등이 있다. 이 주석들 중에서 곽박과 학의행의 것이 가장 유명하다.
우리 나라에서도 윤휴(尹鑴)가 『이아친속기(爾雅親屬記)』를 지었고, 계덕해(桂德海)가 『이아편목(爾雅篇目)』을 지었으며, 이규경(李圭景)은 『독이아변증설(讀爾雅辨證說)』을 지었다.
이규경은 “『이아』 1만 791자는 경전을 읽을 때에 문자의 의미를 알기 위해서 먼저 읽어야 할 책”이라고 하며, 경전과 『이아』는 표리 관계라 할 만큼 연관된 것으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규경은 이 책의 유래와 작자를 고증하고 책이름의 의미를 해석했으며, 역대의 주석서들을 망라하고 있다. 그는 이 책의 작자에 대해 주공과 공자를 끌어들이는 것을 거부한다. 주석서들에서 모아서 만든 것이라 한 곧, 주희(朱熹)의 말을 인용해 주공의 저작설을 부정하고 있으며, 당나라에서 경전을 대경 · 중경 · 소경으로 나누면서 이 책을 소경에 넣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박제가(朴齊家)도 『효경』과 『이아』는 소경이라고 확인하였다. 정약용(丁若鏞)도 「십삼경책(十三經策)」에서 이 책의 작자 문제를 검토하면서 주공의 저작설을 반박하고 있다.
이 책은 고증학의 기본 분야인 소학(小學), 곧 문자학의 자료로서 청나라의 고증학자들에게는 상당히 존중되었다. 『사고전서(四庫全書)』에서는 경부 소학류의 훈고부문으로 수록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 나라의 도학자들에게는 경전의 범위나 독서의 항목으로 넣지도 않을 만큼 소홀하게 취급되었다. 이이(李珥)의 『격몽요결』 독서장에서도 오서(소학과 사서)와 오경 및 성리서를 독서 대상으로 열거했을 뿐 『효경』이나 『이아』에 관해서는 언급하지도 않고 있다. 다만, 실학자들이 단편적인 언급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