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모음 ()

목차
언어·문자
개념
발음할 때 혀나 입술이 일정한 상태에 있지 않고 움직여서 음색이 한 번 변하는 모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발음할 때 혀나 입술이 일정한 상태에 있지 않고 움직여서 음색이 한 번 변하는 모음.
내용

이중모음은 편의상 한 음절(音節) 속의 모음의 연속, 또는 모음과 반모음(半母音)의 결합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때 음절의 핵심으로 기능하는 부분을 음절주음(音節主音)이라 하고, 그 주변부를 이루는 부분을 음절부음(音節副音)이라 한다. 이 음절부음은 그 과도(過渡)의 길이가 짧은 것이 보통이다. 일반적으로 음절주음에 앞서는 음절부음이 뒤에 오는 그것보다 더 짧다.

이중모음은 음절주음과 음절부음의 결합의 선후 관계에 따라, 대체로 세 종류로 나누어진다. 즉, 음절주음 앞에 음절부음이 있는 ‘상승이중모음(上昇二重母音)’과 반대로 음절부음이 음절주음에 뒤서는 ‘하강이중모음(下降二重母音)’, 그리고 그 음절주음과 음절부음의 구별이 어려운 ‘수평이중모음(水平二重母音)’ 등으로 나뉜다.

현대국어에는 11개의 이중모음이 있다. 이 중 10개는 상승이중모음으로서 그 음절부음은 과도가 아주 짧은 반모음 [ㅣ]([j])와 [ㅗ·ㅜ]([w])이며, 나머지 하나는 하강이중모음이다.

(1) 상승이중모음

① ㅣ([j])계 상승이중모음

ㅑ(ㅣ+ㅏ) [ja]

ㅕ(ㅣ+ㅓ) [jə]

ㅛ(ㅣ+ㅗ) [jo]

ㅠ(ㅣ+ㅜ) [ju]

ㅒ(ㅣ+ㅐ) [j○]

ㅖ(ㅣ+ㅔ) [je]

② ㅗ/ㅜ([w])계 상승이중모음

ㅘ(ㅗ+ㅏ) [wa]

ㅝ(ㅜ+ㅓ) [wə]

ㅙ(ㅗ+ㅐ) [w○]

ㅞ(ㅜ+ㅔ) [we]

(2) 하강이중모음

ㅢ(ㅡ+ㅣ) [○j]

이들 이중모음 중에서, ‘ㅕ’는 음절주음 ‘ㅓ’가 장음(長音)일 때에 ‘으’에 가까운[j○]로 발음되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중부방언의 노년층에서 확인된다(경기 ‘競技’[kj○○ŋgi]: 경기 ‘景氣’[kjəŋŋgi]).

‘ㅝ’는 [w○]으로 발음된다.(원시 ‘遠視’[w○○nsi]: 원시 ‘原始’[wənsi]). ‘ㅢ’는 상승이중모음으로 발음되기도 하므로, 이것을 상승이중모음 또는 수평이중모음으로 다루는 이도 있다.

또한, 이 ‘ㅢ’는 제1음절에서 단모음 ‘으’ 또는 ‘이’[i]로 발음되기도 하며(의미 ‘意味’[으미], 희다[히다]), 제2음절 이하에서는 ‘이’로 발음되기도 하며(민주주의), 관형격조사 ‘의’는 중부방언에서 ‘에’[e]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철수의).

‘ㅟ’는 현대국어에서 단모음 ‘위[ü]’를 표기하기 위해 쓰이는 글자이지만 표준발음법에서는 이중모음 ‘위[wi]’로 발음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우리말본』(최현배, 정음사, 1965, 네번째 고침판)
『15세기국어의 중모음연구』(최세화, 아세아문화사, 1976)
『국어음운학』(허웅, 샘문화사, 1985)
An Outline of English Phonetics(Jones, D.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7)
American Pronunciation(Kenyon, J. S. , An Arbor, Michigan,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