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승릉참봉, 종부시직장,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재숙(載叔)
녹소(麓巢)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1년(경종 1)
사망 연도
1804년(순조 4)
본관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주요 관직
승릉참봉|종부시직장|동지중추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승릉참봉, 종부시직장,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재숙(載叔), 호는 녹소(麓巢). 아버지는 이형신(李衡臣)이며, 어머니는 부안김씨(扶安金氏)로 김곤(金坤)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문장을 성취하여 문명이 높았는데, 특히 시에 능하여 여러 사람이 애송하였다. 1750년(영조 26) 진사시에 합격하고 1776년(정조 즉위년) 숭릉참봉(崇陵參奉)에 제수되었다. 1778년 중부봉사(中部奉事), 1779년 종부시직장(宗簿寺直長)에 승진되었으나 이듬해 작은 일로써 해직되어 귀향하였다.

그 뒤 『중용』·『주역』의 연구에 힘썼으며, 1790년 수직(壽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 1794년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었고, 1800년에는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승차하였다. 저서로는 『녹소유고(麓巢遺稿)』가 있다.

참고문헌

『녹소유고(麓巢遺稿)』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