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광광산 ()

목차
관련 정보
산업
지명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원리에 있었던 구리광산[銅鑛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원리에 있었던 구리광산[銅鑛山].
내용

혈암(頁岩)·사암(砂岩)·화강섬록암(花崗閃綠岩)이 분포하며, 광상(鑛床)은 각력질(角礫質) 파이프상광상이다. 1937년에 선광장(選鑛場)이 건립되어 금·은·구리를 생산하였으나, 지금은 구리를 주로 생산하고 은을 수반한다.

예상매장량은 10만 1,250 톤인데, 1981년의 경우 구리 379톤, 은 732㎏을 생산하였다. 구리는 전성(展性) 및 연성(延性)이 우수하고 전기전도율이 높은 강력한 금속으로, 각종 금속과도 융합하여 합금되고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근대공업에서 필요불가결한 기초광물자원이다.

통신전력기계공업·건설 등 각 분야에 있어서 전선·신동품 및 주물 등으로 사용되고 있어 용도가 광범위하지만, 일광광산은 우리 나라의 다른 구리광산과 같이 규모가 작으며 품위가 낮고, 개발에 참여하는 자본의 규모가 영세하여 개발이 부진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와서 중화학공업의 발달로 국내 전기동(電氣銅)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가격이 인상되었고, 채선광시설(採選鑛施設)도 개선되어 구리생산의 전망은 매우 밝다. 그러나 생산력부족으로 1994년에 폐광되었다.

참고문헌

『’83년도광산물수급현황』(동력자원부광무국, 1984)
『한국의 광산물』(대한광업진흥공사, 1979)
『한국의 광업현황』(상공부, 197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