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르개

목차
관련 정보
점말동굴 유적 출토 석회암자르개
점말동굴 유적 출토 석회암자르개
선사문화
유물
물건을 자르는데 사용된 구석기시대의 뗀석기.
목차
정의
물건을 자르는데 사용된 구석기시대의 뗀석기.
개설

주로 큰 격지를 사용해 만든다. 전체의 모양이 거의 장방형으로 날을 격지의 끝부분에 만들며 직선 또는 볼록날이 대부분이다. 특히, 주먹도끼 전통문화인 아슐리안기에 발달된 연모이다.

내용

자르개라는 용어는 손보기(孫寶基)가 공주 석장리 출토 석기를 설명하면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유럽·아프리카 구석기 분류에서 나오는 ‘cleaver’라는 말을 번역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때 자르개라는 분류에 포함시킨 것은 ‘cleaver’의 개념과는 다른 양식과 기능을 가진 석기를 지칭하고 있어 기술적인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용되었다.

석장리 석기의 경우에는 가공되었거나 손잡이가 가공된 길고 날카로운 날〔刃〕이 있는 석기들을 말한다. 그 중에는 가공이 불확실해도 긴 날이 있는 박편 또는 석편석기(石片石器)도 포함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칼, 즉 자를 수 있는 기능이 보이는 석기를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아프리카·유럽 구석기의 분류용어로는 ‘손잡이가 가공된 칼(backed knife)’, ‘옆날 긁개(side scraper)’, ‘가로날 도끼(cleaver)’ 또는 ‘미가공의 박편·석편’ 등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자르개’가 의미하는 바의 ‘cleaver’라는 석기는 현재 ‘가로날도끼’·‘박편도끼’ 또는 ‘작은 도끼’ 등으로도 번역되고 있다.

이 석기는 전기 구석기시대에 아프리카·유럽·인도 등지에서 아슐리안 주먹도끼와 공반되는 대형 석기의 하나로 대형의 박편을 좌우 또는 한쪽만을 양면 또는 외면으로 가공해 원래 박편의 날카로운 부분을 자르는 날로 이용할 수 있도록 남겨놓거나 석기의 옆으로부터 타격을 가해 날부분을 만들어 사용하는 비교적 큰 석기를 말한다. 그래서 가공되지 않은 날이 몸통의 너비와 비슷하게 남아 있다.

날의 모양에 따라 수평날과 경사진 날로 구분하기도 하고, 몸통보다 날의 너비가 넓은 것을 ‘확장형’, 작은 것을 ‘수축형’이라 한다. 또한 좌우가 대칭인 것과 비대칭인 것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전곡리 구석기에서도 대칭인 것과 함께 가공의 정도가 그리 높지 않은 대형 박편들이 있어 모두 자르는 용도로 쓰였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원시형 가로날도끼(proto-cleaver)’로 부르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중국의 저우커우텐 유적의 제15지점에서도 보이는데 중국학자들은 ‘수리파수대석편(修理把手大石片)’으로 부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사』 2(국사편찬위원회, 1997)
「구석기(舊石器)의 명칭(名稱) 및 형태분류(形態分類)」(정영화, 『한국고고(韓國考古)』 3, 1976)
「구석기문화(舊石器文化)」(손보기, 『한국사』 1, 국사편찬위원회, 1973)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