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전라북도 민속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장화리 뒤주는 쌀을 저장해 두던 용구로서, 1864년(고종 1) 정준섭(鄭峻燮)이 제작하였다.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장화동 210-1(后長마을)에 있으며, 정종수(鄭鍾洙)가 소유하고 있다.
가로와 세로는 각각 210㎝로 정방형이며, 높이는 180㎝이고, 판재의 두께는 3.3㎝이다. 백미를 가득 채울 경우 70가마가 들어간다. 뒤주 문은 앞면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며, 폭이 68㎝이고, 8개의 판자를 끼워서 사용하였다. 현재 1개가 분실되어 7개가 끼어져 있다. 재질은 괴목판이며, 네 개의 기둥이 일반 가옥처럼 원형에 가까운 주초(柱礎) 위에 세워져 있다.
정준섭은 구례군수를 역임했기 때문에 정구례(鄭求禮)로 더 잘 알려져 있었다. 그는 조부 때부터 많은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만석군(萬石君)으로 불리던 이 지방 토호였다. 따라서 그의 집은 매일같이 과객 또는 식객으로 늘 붐볐다. 이들을 대접하기 위해 식량을 풍족하게 준비해 둘 수밖에 없어서 대형 뒤주를 만들었던 것 같다. 뒤주에 저장해 두던 70가마의 쌀이 한 달 식량으로 부족하였다고 한다.
현재의 가옥 구성은 대문을 들어서면 왼쪽으로 사랑채와 곳간이 있고, 안쪽으로 안채가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대문 · 사랑채문 · 안채문이 있다. 뒤주는 예전에 곳간 옆에 있었지만, 현재는 안채를 바라보면서 전면(前面)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다. 정종수는 매년 이엉을 얹기가 불편하여, 한때 기와를 앉히기도 하였다.
민속문화재로 지정받던 해인 1976년 4월 현 위치로 옮기면서 뒤주에 이엉을 다시 얹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처마 부분에 각목을 덧댄 것과 윗부분을 부분적으로 약간 보수한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주초 위에 세워져 있는 네 개의 기둥은 눈과 비로 인해 약간 틈이 갈라져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제외하고는 원래의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으며, 당시 이 지방 부호의 한 단면을 엿보는 데 도움이 되는 유물이다. 현재는 곡물 저장용 뒤주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