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곡집 ()

목차
관련 정보
정곡집
정곡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조대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조대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활자본. 1896년 후손 태승(兌承)·병우(秉禹)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나경(羅炅)의 발문과 병우의 지(識)가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6수, 잠(箴)·명(銘)·논학(論學)·소(疏) 각 1편, 서(書) 2편, 제문 1편, 권2∼4는 부록으로 연보 1편, 사화수말(士禍首末) 1편, 신설사적(伸雪事蹟) 26편, 복관사적(復官事蹟) 1편, 건사사적(建祠事蹟) 6편, 춘추정향문(春秋丁享文) 1편, 제가문집참고록(諸家文集參考錄) 16편, 행장·사실·실기·묘갈명·찬(贊)·건사사적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불과 6수밖에 되지 않지만, 애상적인 내용으로 서정성이 두드러진다. 그 중 칠언절구 「낙동강문적(洛東江聞笛)」에는 한정(閒靜)·청아한 시정이 잘 나타나 있다. 「임종시(臨終詩)」와 「상가형영결시(上家兄永訣詩)」는 저자가 억울한 죽음을 당하면서 읊은 것으로 그 표현이 애절하다.

잠의 「경의잠(敬義箴)」은 경(敬)과 의(義)를 새의 두 날개와 수레의 두 바퀴에 비유하여 인격형성의 불가피한 요소임을 강조한 글이다. 소의 「청거현량소(請擧賢良疏)」는 일찍이 조광조(趙光祖)의 건의로 시행된 바 있었던 현량과를 다시 부활시키자는 내용이다.

서(書)의 「상이동암발(上李東菴潑)」은 이발에게 보낸 글이다. 부록에는 기축옥사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실려 있어 참고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