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 ()

목차
관련 정보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공예
물품
목이 긴 형태의 물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목이 긴 형태의 물병.
내용

범어(梵語) 군디카(Kundika)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음역(音譯)하여 군지(軍持) 또는 군치가(桾雉迦)라 하고, 수병(水甁)이라고도 한다.

즉, 물을 담는 병으로, 물 가운데서도 가장 깨끗한 물을 넣는 병을 이른다. 정병에 넣는 정수(淨水)는 또한 중생들의 고통과 목마름을 해소해 주는 감로수(甘露水)와도 서로 통하여, 감로병 또는 보병(寶甁)이라고도 일컫는다.

정병은 본래 깨끗한 물을 담는 수병으로서 승려의 필수품인 18물(物)의 하나이던 것이, 차츰 부처님 앞에 정수를 바치는 공양구(供養具)로서 그 용도의 폭이 넓어지게 되었다.

불교의 정병은 인도에서 발생하여 불교와 함께 우리에게 전래된 것으로, 부처님 앞에 물공양으로 바치는 불기(佛器)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불·보살의 지물(持物)로서 구제자(救濟者)를 나타내는 하나의 방편이자 자비심을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지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정병과 불·보살과의 관계는 왕자요 구제자요, 길상(吉祥)과 풍요를 부여하는 자로서의 이미지가 서로 복합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잘 표현해 주고 있는 것이 바로 관세음보살이 들고 있는 정병이다. 이 정병에는 감로수가 들어 있어 감로병이라고도 하는데, 관세음보살은 이 감로수로써 모든 중생들의 고통을 덜어 주고 갈증을 해소해 준다. 정병은 관세음보살 이외에 미륵보살이나 제석천(帝釋天)·범천(梵天) 등도 들고 있다.

정병의 재료는 토기나 금·은 등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주로 청동과 도자기가 애용되어 왔다. 특히 불교를 숭앙하던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부터는 불교의 융성과 더불어 불전공양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불가결의 불구로서 대량으로 조성되었으며, 양식적인 측면에서도 고려의 독창성을 아주 잘 보여 주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 만들어진 정병의 형태는 주둥이부분[注口部]·목부분[頸部]·몸체부분[胴體部]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다시 분류하면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긴 목에 나팔모양의 주둥이가 달려 있고 타원형의 몸체에 굽이 달려 있는 모양이다. 둘째는 긴 목에 테두리가 둘러져 있고 불룩 나온 배 위에 기다랗고 뾰족한 끝이 나와 있으며, 몸체의 넓은 어깨에는 주둥이가 나와 있는 형태로서 여기에는 뚜껑까지 갖추어져 있다.

첫째 형태의 대표적인 예로는 경주 불국사 부근에서 출토된 청동병(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이 알려져 있으며, 둘째 형태의 예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국보, 1962년 지정)을 대표로 들 수 있다.

문양은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가장 특색 있고 독자적인 무늬들이 나타나게 되는데, 도자기와 청동제 정병에 공통적으로 포류수금문과 유로수금문(柳蘆水禽文) 등을 중심으로 한 연판문(蓮瓣文)·여의두문(如意頭文)·당초문(唐草文)·운문(雲文)·뇌문(雷文) 등의 여러 가지 문양이 각 부에 따라 장식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런데 각 부 중에서도 몸체에는 버드나무·갈대·부들·연 등 수생초(水生草)와 함께 오리·기러기·원앙 등 물가 생활에 관련이 깊은 소재를 배치함으로써 생동감 있고 조용한 물가 풍경을 주로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청동제의 정병에서 새롭게 보이는 은입사기법은 밀랍주조법(蜜蠟鑄造法)과 함께 청동기 전래 이후 급속하게 발전한 고려시대의 우수하였던 금속공예의 한 단면을 잘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의장적(意匠的)인 측면이나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정교하기 이를 데 없을 뿐만 아니라 조형성(造形性) 또한 뛰어난 정병은 매우 존귀하게 취급되어 온 물병으로, 종교적인 특수목적을 띠고 주로 사찰에서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불교미술개론』(문명대, 동국대학교출판부, 1980)
집필자
김창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