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산문집 ()

정산집
정산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송호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송호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2년 김영선(金永善)·도봉균(都奉均)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박규복(朴奎福)·도봉균·김황(金榥)·송시영(宋蓍永)·송호택(宋鎬澤) 등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6권 8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계명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202수, 권2∼6에 서(書) 256편, 권7에 잡저 48편, 권8에 강록 2편, 권9에 서(序) 21편, 기(記) 35편, 권10에 발(跋) 15편, 명(銘) 14편, 잠(箴) 2편, 찬(贊) 4편, 서(書) 2편, 상량문 13편, 권11에 축문 3편, 제문 30편, 비기(碑記) 5편, 묘지명 13편, 권12에 묘표 26편, 권13에 묘갈명 17편, 권14에 행장 14편, 권15에 행장 12편, 유사 3편, 전(傳) 6편, 권16에 부록으로 행장·가장·묘지명·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시정이 풍요해 경물·감회에 있어 시어가 다단하고 시상이 고고, 청아하다. 감회시로는 정재성(鄭載星)이 보낸 시와 「만송연재병선선생(挽宋淵齋秉璿先生)」의 칠언율시 2수, 경물시로는 「영우천정(詠愚泉亭)」의 오언절구가 뛰어나다. 그밖에 칠언절구로는 「와룡귀운(臥龍歸雲)」·「도탄만조(道灘晩潮)」·「금포명월(琴浦明月)」·「창서반조(昌嶼返照)」·「노량어가(露梁漁歌)」등이 대표작이다.

서(書)는 이 문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중 곽종석(郭鍾錫)에게 보낸 것은 대개 학문적인 내용으로, 특히 심성(心性)·의례(儀禮) 등에 관한 문의가 많다. 또한, 사우·족친간에 주고받은 것은 학문·시사·문안 등에 관한 내용이다.

잡저의 「보교비존공론변(保敎非尊孔論辨)」에서는 제1론부터 제8론까지에서 유교의 진수를 전개하고 있다. 불교의 박애·무외(無畏)·감파생사(勘破生死)·보도중생(普度衆生)이나 예수교의 평등·시적여우(視敵如友)·살신위민(殺身爲民) 등은 광대한 유교의 도리와는 빙탄수화(氷炭水火: 서로 반대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와 같은 것인데, 이를 모두 포섭해 유교를 빛내 보려 하는 것은 옳지 않은 생각이라고 논변하였다.

「좌목(座目)」·「시제생(示諸生)」은 제자들에게 수신정심(修身正心)의 요도(要道)를 제시한 것이고, 「오화헌종규(五花軒宗規)」는 종친간의 수칙으로 7개 항목을 나열하고, 각기 그 항목 아래 구체적인 내용 및 방법까지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그밖에 명과 잠은 선현들의 말을 인용하여 경계하는 내용으로 지은 글이 많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