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활자본. 1878년(고종 15) 김일형(金日炯)·김규서(金奎書)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한장석(韓章錫)·이시달(李時達)의 서문이, 권말에 김규서·김일형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등에 있다.
권1은 시 146수, 권2는 서(書) 6편, 권3은 서(序) 7편, 기(記) 3편, 발(跋) 2편, 설(說) 3편, 변(辨) 2편, 찬(贊) 1편, 권4는 제문 9편, 경의문답(經義問答) 54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시어가 청담하다.
「화조팔영(花鳥八詠)」은 모란화(牡丹花)·해당화(海棠花)·국화(菊花)·죽부인(竹夫人)·학자(鶴子)·구부(鳩婦)·안빈(雁賓)·합노(鴿奴) 등으로 나누어 읊었는데, 그의 시상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서(書)의 경의문답은 사서의 중요한 부분에 대하여 문의한 서한에 회신한 것으로, 주로 정주(程朱)의 학설을 인용하여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또한 명덕(明德)·심·성·정을 『대학』·『중용』·『논어』·『맹자』에서 각각 어떠한 내용으로 논술하였는가를 밝혔다.
「답박윤주(答朴允朱)」는 소목(昭穆)에 대하여 문답한 것으로, 좌(左)는 소(昭)가 되고 우(右)는 목(穆)이 되며, 또한 아버지가 소가 되고 그 아들이 목이 되어 질서를 가지게 되는 것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