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문집 ()

정재문집
정재문집
유교
문헌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이석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이석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1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61년 이석용의 아들 이원영(李元泳)이 편집 · 간행하였다. 권두에 고명량(高明良)의 서문, 권말에 이도형(李道衡)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7권 2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86수, 권2·3에 소(疏) 1편, 서(書) 58편, 전(傳) 1편, 제문 2편, 불망록 1편, 권4에 부록으로 행장 · 제가영시(諸家詠詩) 등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별도의 『창의록(倡義錄)』 3권 1책이 있다. 이 책에는 권두에 이광호(李廣鎬) · 박인규(朴仁圭)의 서문과 권말에 조현수(趙顯洙)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창의전말(倡義顚末) 74편, 권3에 창의일기(倡義日記) · 부전주공판기(附全州公判記) 등이 실려 있다.

시는 망국의 한을 품고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쳐 일본에 원수를 갚는 것을 결의하는 내용의 우국충정이 담긴 작품이 많다. 저자는 의병장이 되어 6·7년간 싸우다가 왜병에게 붙잡혀 사형당했는데, 임실 · 전주 · 대구 등지에 수감되어 있을 때 지은 「옥중작(獄中作)」과 「절명사(絶命詞)」에 저자의 높은 기개가 나타나 있다.

소의 「상저황소(上儲皇疏)」는 1909년 순종에게 올린 글이다. 민족 주체의식의 확립과 매국노의 죄악을 선포할 것을 촉구한 내용으로 4,800여 자에 달하는 장편이다. 서(書)는 주로 곽종석(郭鍾錫) · 전우(田愚) · 기우만(奇宇萬) 등 많은 사우(師友) 및 가족들에게 보낸 옥중결서(獄中訣書)와 일본정부 · 미국공사에 보낸 서찰이다. 「불망록」은 1908년부터 1913년까지 호남을 거점으로 하여 의병으로 활약할 때 군자금을 지원해준 사람의 명단이다. 208명의 성명 · 주소 · 금액이 날짜별로 기록되어 있다.

『창의록』은 창의의 전말을 밝힌 것이다. 전라북도 진안 마이산의 동맹단도(同盟團圖), 28명의 동맹단 명단, 21명의 밀맹단(密盟團)을 먼저 수록하고, 「동맹뢰사(同盟酹辭)」 · 「의진약속(義陣約束)」 · 「서사문(誓師文)」 · 「전팔도격(傳八道檄)」 · 「의령십조(義令十條)」 · 「기일본정부서(寄日本政府書)」 · 「진대의소(陳大義疏)」 등 74편의 방대한 기록을 실었다. 「창의일기」에는 1907년부터 1908년까지 2년간의 왜병과의 전투 상황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후의 기록은 토굴 속에 숨겨두었다가 손실되었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한말 의병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