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구락부 ()

목차
근대사
단체
1921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친일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1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친일단체.
내용

총독부의 고위급 관료와 재류 일본인 부호가 주동이 되어 일부 한국인 대지주와 예속자본가, 직업적 친일분자가 참가하여 1921년 11월 10일 발족되었다. 발기인 70명 중의 22명, 이사 20명 중의 4명만이 한국인 친일파였다.

그런 점으로 보아 일본인과 한국인의 합작단체 중에서도 완전히 일본인이 주도하는 친일단체라 하겠다. 발기인을 보더라도 총독부의 경무국장 마루야마(丸山鶴吉), 내무국장 오쓰카(大塚堂三郎) 등의 국장급 관료를 비롯해 이키다(生田淸三郎)와 같은 총독부 관료, 재류 일본인 유력자 이시하라(石原磯次郎)가 가입하고 있었다.

한편, 친일파의 발기인에는 박영효(朴泳孝)·이완용(李完用)·송병준(宋秉畯)·민영기(閔泳綺)·이재극(李載克) 등의 조선귀족, 조진태(趙鎭泰)·한상룡(韓相龍)·백완혁(白完爀)·백인기(白寅基)·민대식(閔大植)·김한규(金漢奎)·박승직(朴承稷)·장도(張燾)·엄주익(嚴柱益)·김명준(金明濬) 등의 대지주·예속자본가·직업적 친일분자, 원응상(元應商)·이진호(李軫鎬)·장헌식(張憲植) 등의 친일관료 출신자 등, 당시의 제일급 친일파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단체의 취지서에는 당시 일본의 교순사(交詢社)나 일본구락부(日本俱樂部)처럼 일본지배층의 사교단체와 비슷한 것이라고 하고, 친목과 내선융합(內鮮融合)을 위한 상호의 의사소통의 친목단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총독부 당국의 속셈은 3·1운동 후의 한국민중의 반일감정의 격화에 대처하여 동요하고 있던 친일파를 재결속시키며 친일세력을 고무, 격려하는 데 이들 제일급 친일파를 이용해보려는 것이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사』(강동진, 한길사, 1980)
『朝鮮俱樂部創立關係資料』(齋藤實文書 書類, 190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