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934년 한석환(韓石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태좌(柳台佐)의 서문이, 권말에 장석영(張錫英)·한철교(韓轍敎)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43수, 서(序) 4편, 기(記) 8편, 권2에 설(說) 10편, 잠(箴) 2편, 명(銘) 6편, 부록으로 세계도·행장·묘갈명·묘지명 각 1편, 문(文) 4편, 영조암(詠釣巖) 9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경물(景物)에 대한 것이 많으며, 21구로 된 고시인 「왜옥탄(矮屋嘆)」에는 자기의 빈한한 생활상을 세세히 표현하여 한빈낙도(寒貧樂道)의 인생관이 엿보인다.
설의 「경전설(耕田說)」은 농사에 비유하여 학문하는 방법을 논한 것으로, 성현의 글을 읽으며 궁리(窮理), 존심(存心)하고 지경(持敬), 효제(孝悌)하여 정심(正心), 수신(修身), 나아가 제가(齊家)와 치국(治國)에 이르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조어설(釣魚說)」에서도 낚시를 통하여 지경의 경지에 이르고 스스로를 깨우치는 방도를 얻었음을 기술하였다. 잠의 「지경잠(持敬箴)」과 「거악염잠(去惡念箴)」은 모두 자경잠(自警箴)의 성격을 지닌 글들이다.
명 중 「육토명(六土銘)」은 토실(土室)·토창(土牕)·토탑(土榻)·토정(土鼎)·토로(土爐)·토발(土鉢) 등으로 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흙의 장점과 그 덕(德)을 찬미한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