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오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노응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노응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34년 아들 정술(正述)과 김용제(金鎔濟)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상학(張相學)의 서문이, 권말에 종손 시용(時容)과 정술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사우당 종책, 전남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365수, 권3에 서(書) 20편, 기(記) 3편, 서(序) 4편, 발(跋) 2편, 잡저 2편, 뇌(誄) 1편, 제문 5편, 행장 2편, 권4에 부록으로 만사 44수, 제문 20편, 가장·묘갈명·묘지명 각 1편, 기 3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대부분 율시이다. 시상이 청아 활발하고 시어가 다단하며 작시가 정교하다. 「각산서당9경음(覺山書堂九景吟)」과 「유거17절(幽居十七絶)」은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만하며, 「존심(存心)」·「존양(存養)」·「노소음(老少吟)」 또한 그 표현이 재미있다.

기의 「교궁양사기(校宮養士記)」는 군수 민영원(閔泳原)이 자신의 봉급으로 퇴락한 향교(鄕校)를 보수하고, 또한 향내의 노유(老儒)로 하여금 교도하게 하는 등 백성을 잘 다스린 공적을 치하하는 내용이다.

서(序)의 「학계첩서(學契帖序)」는 마을사람들이 자제들을 교육시키기 위하여 사옥을 신축하고 계를 만들어 학문을 진작시키고자 노력하는 것을 찬양하는 내용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