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원 무릉리 고분군 ( )

선사문화
유적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에 있는 조선시대 회곽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에 있는 조선시대 회곽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내용

1983년 한양대학교박물관에서 충주댐 수몰지구 유적발굴의 일환으로 3기의 무덤을 조사한 바 있다. 분묘는 무릉리 능골마을 서쪽 산 능선이 끝나는 표고 150m되는 곳에 2기가 나란히 놓여 있고, 남쪽으로 능선을 따라 약 20m 떨어진 곳에 또 다른 1기가 놓여 있다.

3기 중 제1호분은 봉분의 지름이 6m, 높이가 약 1m인 비교적 큰 분묘이다. 발굴 결과, 봉분의 꼭대기에서부터 약 1m 아래에서 장축(長軸)을 남북으로 하는 회곽이 노출되었다. 회곽은 석회ㆍ세사(細沙)ㆍ황토 등을 섞어 만든 것으로 곡괭이로도 잘 부서지지 않을 정도로 견고하게 축조되었다.

회곽의 뚜껑 밑에는 소나무로 만든 7개의 횡대(橫帶)를 걸쳤으며, 그 아래에는 두께 30㎝ 정도의 소나무로 만든 나무널(木棺)이 놓여 있었다. 목관 내에 머리방향이 동남쪽인 남자인골이 안치되어 있었다.

제2호분은 제1호분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봉분의 크기는 제1호분과 비슷하다. 봉분의 꼭대기에서부터 약 1.3m 아래에서 회곽이 노출되었으며, 전체적인 크기는 제1호분보다 약간 작다.

회곽 내부에는 7개의 횡대를 걸친 다음 소나무 목관을 안치했으나 대부분 썩어 없어지고 목간(木幹)만 남아 있었다. 목관 내에 안치된 피장자는 여자로서 제1호분과 나란히 놓여 있는 점으로 보아 제1호분과 제2호분의 피장자는 부부로 짐작된다.

제3호분은 제1ㆍ2호분에서 남쪽으로 약 20m 떨어진 산 능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ㆍ2호분과 같은 회곽묘이다. 회곽의 모양이나 구조는 제1ㆍ2호분과 비슷하나 목관은 소나무에다 옻칠을 한 차이점이 있다. 목관 속에 안치된 사람은 남자로서 치아가 그대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사망 당시 나이가 많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무릉리 분묘 3기의 특징은 피장자를 알 수 있는 유물이 한 점도 출토되지 않아 이 유적의 정확한 연대나 피장자의 신분 등은 알 수 없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회곽묘가 완전하게 확인된 점과 완전한 인골의 수습 등이 중요한 성과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충주댐수몰지구문화유적발굴조사종합보고서(忠州댐水沒地區文化遺蹟發掘調査綜合報告書)』(충북대학교박물관,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