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오류헌고택 ( )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오류헌
안동 오류헌
주생활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조선후기 이후의 대사성 출신 김방걸의 3남 김원중 관련 주택.
이칭
이칭
오류헌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안동 오류헌 고택(安東 五柳軒 古宅)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유산청 국가민속문화유산(1984년 01월 14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기르마제길 18-15 (임하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조선후기 이후의 대사성 출신 김방걸의 3남 김원중 관련 주택.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선 숙종 때 대사성을 지낸 김방걸(金邦杰)의 셋째 아들인 김원중(金遠重)이 천곡(川曲)으로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라고 한다.

원래는 임동면 지례리에 있었으나 임하댐 건설로 이 지역이 수몰되어 1990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한 것이다. 안채는 분가 때(1700년대)의 건물로 추정되나 사랑채는 현 소유자 김원택(金源宅)의 할아버지가 1920년에 크게 개축한 것이다.

□형 안채와 ㅗ형 사랑채 및 중문간채가 튼 □자를 이루고 있으며, 사랑마당 왼쪽에 외양간을 설치하였다. 안채의 오른쪽에 방앗간을 설치하였고, 담 밖 뒤쪽 낮은 언덕에 제청(祭廳: 사당)을 배설하였다. 안채의 가운데는 마당 쪽으로 개방된 정면 3칸의 대청이 있다.

대청의 왼쪽에 접하여 2칸의 온돌방과 2칸의 부엌 도합 4칸이 마당 쪽으로 뻗어내려 □형을 이루었으며 대청의 오른쪽 끝에 상방(上房) 1칸이 꾸며져 있다.

사랑채의 사랑마루는 정면 2칸으로 전면에 4분합문을 달아서 마루방으로 꾸몄으며 왼쪽에는 정면 2칸의 사랑방이, 오른쪽에는 1칸의 감실방이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 전면에는 툇마루를 설치하였는데 감실방의 앞쪽만 한단 더 높이고 헌함을 돌려서 누마루처럼 꾸몄다.

사랑방 뒤편에는 부속마루방과 내정(內庭)으로 통하는 샛마루를 두었고, 사랑마루방 뒤에는 샛방과 책방을 설치하였다. 감실방의 뒤칸에 설치한 감실은 줄을 당겨서 상하로 승강(乘降)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 놓아 흥미롭다.

샛마루와 샛방 뒤편에는 모방과 고방을 직각으로 돌출시켜서 안마당을 향하여 배치하고 출입하게 하였다. 사랑방의 왼쪽에 접하여 지붕이 한단 낮은 중문간채가 일자로 연결되었는데 중문간 1칸, 아랫방 2칸, 아랫마루방 1칸의 순으로 배열되었다.

행랑채는 5칸의 어간(御間)을 솟을박공지붕으로 올리고 중턱대문을 달았으며 좌우에는 방과 고방을 각 1칸씩 대칭으로 배치하였고 외벽은 검은색이 나는 냇돌을 방화벽처럼 백회로 곱게 쌓아 올렸다.

안채 대청의 보간은 1칸으로 너비가 좁은 편이며 자연색 초석 위에 방주(方柱)를 세웠고 상부 가구(架構)는 3량가(樑架)로 각대공(角臺工) 위에 마룻대를 올렸다.

안방부엌의 부뚜막 윗벽에는 벽돌 크기의 네모난 구멍을 5개소 내어서 구들골이 막혔을 때 뚫을 수 있게 하였다. 평소에는 벽돌로 막아놓았고, 재나 그을음은 윗목의 구들골 측면에서 끌어낼 수 있게 청소구를 설치하였다.

사랑마루방의 상부는 5량가로 종보 위에 원형(圓形) 판대공(板臺工)을 세우고 마루도리를 올렸다. 이 집은 사랑마당 · 안마당 · 뒷마당 등 마당의 성격에 따른 구분이 건물과 담장을 경계로 명확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주택의 내외 생활영역의 구분을 위한 공간분리 전통을 잘 이행하고 있는 좋은 예로, 주택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라 하겠다.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당시 명칭은 지례동 오류헌(知禮洞 五柳軒)이었다. 명칭변경 요청에 따라, 국가유산 성격과 소재지를 적시하기 위해 2009년 6월 16일 안동 오류헌 고택(安東 五柳軒 古宅)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일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