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사 석조 나한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직지사 석조나한좌상
직지사 석조나한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직지사석조나한좌상(直指寺石造羅漢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나한상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7년 09월 29일 지정)
소재지
경북 김천시 대항면 북암길 89 (운수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불상.
내용

1997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불상 높이 45㎝, 어깨 너비 17㎝, 무릎 너비 28㎝. 이 존상은 원래 서운선사(瑞雲禪師)의 원불(願佛)로 전해져왔으나, 최근 직지사로 이장, 보관중이다.

보존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얼굴과 가슴부위에 일부 박락현상이 있다. 전체적으로 3각의 형태로, 고개를 약간 숙여 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머리에는 두건을 착용하였으며, 두건의 끝단은 3단으로서 어깨까지 드리워져 있다.

얼굴은 오똑한 코와 양 입가에 보이는 부드러운 미소 등 간단하면서도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팔뚝을 타고 흘러내린 법의(法衣)는 결가부좌(結跏趺坐)를 하고 있는 무릎 위를 덮고 있다.

양 무릎 중앙에는 호랑이로 보이는 동물이 꿇어 앉아 있고, 동물의 꼬리는 길게 바닥까지 닿고 있다. 만약 이 동물이 호랑이라면, 이 존상은 항상 호랑이를 어르는 18 나한 중에 제13위인 인게타존자(因揭陀尊者)로 볼 수 있다.

두건의 형식이 고창 선운사(禪雲寺) 지장보살좌상과 동일한 점이나 얼굴 표현에 보이는 양 볼의 팽창할 듯한 표현방법은 평창 월정사(月精寺)의 보살상이나 한송사(寒松寺) 보살상 등 고려 전기의 일련의 존상과 비슷하여 이 존상의 조성시기 역시 고려 전기로 생각된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