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현성 ()

목차
관련 정보
질현성
질현성
건축
유적
국가유산
대전광역시 대덕구에 있는 삼국시대 내탁외축 구조로 축조된 테뫼식 성곽. 산성.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질현성(迭峴城)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기념물(1989년 03월 18일 지정)
소재지
대전 대덕구 비래동 산31-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전광역시 대덕구에 있는 삼국시대 내탁외축 구조로 축조된 테뫼식 성곽. 산성.
내용

1989년 대전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11,107㎡, 둘레 약 800m. 현재 문지(門址)·수구지(水口址)·우물터 등이 남아 있다.

이 성은 안으로는 흙을 다져 쌓고 밖으로는 돌을 쌓는 내탁외축(內托外築)한 규모가 큰 테뫼형산성(산 정상을 둘러쌓은 성)으로, 동쪽 성벽 일부는 안팎으로 돌을 쌓는 협축(夾築)을 하였다.

이 성은 오늘날의 대전과 회덕 방면에서 동쪽으로 충청북도 회인(懷仁)과 문의(文義) 방면으로 통하는 요로를 지키기 위하여 백제 때 쌓은 것으로 보이는데, 성벽의 높이는 1.5m이고, 석루(石壘)의 상부 너비는 4.2m이며, 남문지의 너비는 약 6m, 동문지의 너비는 약 3.5m이다.

성안에는 지금도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샘물이 나오고 있다. 성의 동북쪽 성벽은 90×20㎝ 정도의 석재를 사용하여 축조되어 있다.

성안에서는 백제시대 토기조각을 비롯하여 신라시대 토기조각과 조선시대 자기조각까지 출토되고 있어서,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엽까지 계속해서 사용하여 온 산성으로 추정된다. 이 산성에는 주위에 7곳의 보루(堡壘)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가 백제를 멸망시킨 뒤 665년(문무왕 5)에 문무왕은 웅진도독 부여 융(扶餘隆)과 더불어 웅진 취리산(就利山)에서 백마를 잡아 피를 나누어 마시면서 맹약을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그 웅진의 취리산은 현재의 공주(웅진)지방에 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 성의 부근에 주산리(注山里, 줄뫼)와 비룡리(飛龍里, 줄골)가 있고 질현은 곧 질티이므로 이곳이 취리산이라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웅령회맹·취리산동맹의 축단위치에 대하여」(지헌영, 『어문연구』 5, 1967)
「대전부근고대성지고」(성주탁, 『백제연구』 5,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1974)
「백제부흥군의 주요거점에 관한 연구」(지정보, 단국대학교대학원, 198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