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지석묘(昌寧支石墓)는 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유리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인 고인돌이다. 원래 10기 이상이 있었으나 현재는 대형 고인돌 1기만 남아 있다. 전형적인 바둑판식고인돌로서 사용된 돌의 종류로 보아 먼 거리에서 채석 · 운반된 것으로 보인다. 1962년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해 5기가 조사되어 그중 2기(A · B 지점)에서 특이한 하부 구조를 확인하였다. 모두 넓은 무덤구덩이에 소형의 매장 주체부를 설치하였다. 구조는 널돌을 쌓아 벽석을 만들었으며, 뚜껑돌은 여러 겹을 사용하고 상부는 깬돌로 채웠다.
유리마을 북서쪽의 낮은 구릉 위에 자리한 고인돌군이다. 입지적으로 주변을 조망하기 좋고, 주변에서도 잘 보이는 곳에 있다. 이 지역은 일찍부터 칠성바위로 불리던 큰 돌들이 분포하였던 곳으로 원래 10기 이상의 고인돌이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일제강점기 때 도로공사로 파괴되었으며, 그중 1기만 마을 유지들이 보상금을 지급한 후 간신히 남게 되어 현재 1기의 덮개돌만 본래 모양으로 유지되고 있다. 유리마을에 있어서 ‘유리유적’으로도 불린다.
발굴 조사는 1962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덮개돌이 없어진 고인돌 중 5기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그중 2기(A · B 지점)의 고인돌에서 매우 특이한 하부 구조를 확인하였다. 현재는 구릉 정상부에 있는 대형 고인돌을 중심으로 주변이 잘 정비되어 있다.
원형이 남아 있는 고인돌은 구릉 정상부 중앙에 자리하며, 형태는 장방형으로 길이 약 3.5m, 폭 약 3.1m, 두께 약 1.8m에 이르는 대형이다. 덮개돌 아래는 굄돌 네 개가 모서리에 받쳐 있으며, 북장벽 중앙부에 한 개가 자리한다. 따라서 전형적인 바둑판식고인돌이다.
돌 종류는 덮개돌이 검은돌비늘 화강암(花崗巖)이며, 굄돌은 안산암(安山巖)으로 서로 다른 돌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주변 지역에서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먼 거리에서 채석 · 운반된 것으로 보인다.
A 지점은 암반을 굴착하여 방형의 무덤구덩이(350×350×60㎝)를 만들고, 중앙부에 소형의 매장 주체부(90×35×30㎝)를 설치하였다. 벽체는 모두 널돌을 쌓아 축조하였으며, 두껑돌도 널돌로 덮었다.
B 지점은 A 지점에서 동쪽으로 50m 떨어진 곳에 자리한다. 무덤구덩이(300×250×110㎝)는 방형으로 암반을 굴착하여 축조하였으며, 매장 주체부(67×27×27㎝)는 소형이다. 벽석은 널돌을 놀랄 만큼 정교하게 쌓아 만들었으며, 상부는 널돌의 뚜껑돌을 이중으로 덮고 그 위에 다시 작은 널돌과 돌멩이로 무덤구덩이 내부를 채웠다. 양 고인돌에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