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지석묘 ( )

선사문화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유리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인 고인돌.
이칭
이칭
유리유적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고인돌
건립 시기
청동기시대
재질
소재지
경상남도 창녕군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기념물(1974년 2월 16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유리 산9번지
내용 요약

창녕지석묘(昌寧支石墓)는 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유리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인 고인돌이다. 원래 10기 이상이 있었으나 현재는 대형 고인돌 1기만 남아 있다. 전형적인 바둑판식고인돌로서 사용된 돌의 종류로 보아 먼 거리에서 채석 · 운반된 것으로 보인다. 1962년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해 5기가 조사되어 그중 2기(A · B 지점)에서 특이한 하부 구조를 확인하였다. 모두 넓은 무덤구덩이에 소형의 매장 주체부를 설치하였다. 구조는 널돌을 쌓아 벽석을 만들었으며, 뚜껑돌은 여러 겹을 사용하고 상부는 깬돌로 채웠다.

정의
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유리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인 고인돌.
발굴 경위 및 결과

유리마을 북서쪽의 낮은 구릉 위에 자리한 고인돌군이다. 입지적으로 주변을 조망하기 좋고, 주변에서도 잘 보이는 곳에 있다. 이 지역은 일찍부터 칠성바위로 불리던 큰 돌들이 분포하였던 곳으로 원래 10기 이상의 고인돌이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일제강점기 때 도로공사로 파괴되었으며, 그중 1기만 마을 유지들이 보상금을 지급한 후 간신히 남게 되어 현재 1기의 덮개돌만 본래 모양으로 유지되고 있다. 유리마을에 있어서 ‘유리유적’으로도 불린다.

발굴 조사는 1962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덮개돌이 없어진 고인돌 중 5기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그중 2기(A · B 지점)의 고인돌에서 매우 특이한 하부 구조를 확인하였다. 현재는 구릉 정상부에 있는 대형 고인돌을 중심으로 주변이 잘 정비되어 있다.

형태와 특징

원형이 남아 있는 고인돌은 구릉 정상부 중앙에 자리하며, 형태는 장방형으로 길이 약 3.5m, 폭 약 3.1m, 두께 약 1.8m에 이르는 대형이다. 덮개돌 아래는 굄돌 네 개가 모서리에 받쳐 있으며, 북장벽 중앙부에 한 개가 자리한다. 따라서 전형적인 바둑판식고인돌이다.

돌 종류는 덮개돌이 주1 주2이며, 굄돌은 주3으로 서로 다른 돌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주변 지역에서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먼 거리에서 채석 · 운반된 것으로 보인다.

A 지점은 암반을 굴착하여 방형의 무덤구덩이(350×350×60㎝)를 만들고, 중앙부에 소형의 매장 주체부(90×35×30㎝)를 설치하였다. 벽체는 모두 널돌을 쌓아 축조하였으며, 두껑돌도 널돌로 덮었다.

B 지점은 A 지점에서 동쪽으로 50m 떨어진 곳에 자리한다. 무덤구덩이(300×250×110㎝)는 방형으로 암반을 굴착하여 축조하였으며, 매장 주체부(67×27×27㎝)는 소형이다. 벽석은 널돌을 놀랄 만큼 정교하게 쌓아 만들었으며, 상부는 널돌의 뚜껑돌을 이중으로 덮고 그 위에 다시 작은 널돌과 돌멩이로 무덤구덩이 내부를 채웠다. 양 고인돌에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의의 및 평가

창녕지석묘는 바둑판식고인돌로서 구릉 정상부에 자리하여 주변 지역에 대한 조망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에서도 고인돌을 잘 볼 수 있기 때문에 ‘거석 기념물’의 기능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발굴 조사된 2기의 고인돌은 암반을 파서 무덤구덩이를 만들었는데, 매우 특이한 형태이다. 구조적으로는 뚜껑돌을 상하로 겹쳐 설치하거나 상부를 돌로 채우는 것으로 창원덕천리유적, 김해율하리유적, 사천이금동유적, 보성동촌리유적 등 여러 지역에서 확인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재원, 윤무병, 『한국지석묘연구(韓國支石墓硏究)』(국립박물관, 1967)
주석
주1

고토분(苦土分)이 많으며, 철ㆍ칼리(kali)ㆍ반토(礬土)ㆍ물 따위가 결합한 복잡한 규산염으로 이루어진 운모. 비늘 모양 또는 육각판(六角板) 모양의 결정으로 검은색ㆍ푸른 회색ㆍ갈색 따위를 띠며, 유리 광택이 있다. 화성암, 변성암의 조암 광물로서 널리 볼 수 있다.    우리말샘

주2

석영, 운모, 정장석, 사장석 따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심성암(深成巖). 완정질(完晶質)의 조직을 이루며, 흰색 또는 엷은 회색을 띤다. 닦으면 광택이 나는데, 단단하고 아름다워서 건축이나 토목용 재료, 비석 재료 따위에 쓴다. 함유된 운모의 종류에 따라 흑운모 화강암, 백운모 화강암 따위로 불린다.    우리말샘

주3

사장석, 각섬석, 흑운모, 휘석 따위로 이루어진 화성암. 검은 회색을 띠며, 단단하고 견디는 힘이 강하여 건축이나 토목에 쓰인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