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삼태리 마애여래 입상 ( )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조각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높이 7.1m의 마애불. 보물.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높이 7.1m의 마애불. 보물.
개설

196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태화산(泰華山)의 해선암(海仙庵) 뒷산 바위에 새겨진 마애여래입상이다. 불상은 7.1m의 크기이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천안 삼태리(三台里) 마애여래입상에 관한 명문과 문헌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조성 배경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

내용

불상 윗부분에는 언제 만든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목조 건물을 가설하기 위한 흔적이 남아 있다. 불상은 머리가 몸에 비해 큰 듯하지만, 7등신(等身)에 가까운 신체 비례를 갖추고 있다. 통견(通肩 : 옷이 양쪽 어깨를 덮고 있는 것) 형식으로 법의(法衣 : 불상의 옷)를 입고 있으며, 양 손은 가슴 앞으로 올린 다음, 손등을 위로 한 채 오른손을 위에 두고, 손바닥을 위로 한 채 왼손을 아래에 마주보게 두고서 손끝을 살짝 만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수인은 고려시대 마애불상에 많이 보이는데, 다만 그 성격은 알 수 없다.

삼태리 마애여래입상은 마애불상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특징인 윗부분을 고부조로 새기고 아랫부분을 밋밋하게 조각하였다. 불상은 크고 둥근 육계(肉髻 : 정수리 위에 솟아나온 부분)와 마치 가발을 쓴 것과 같은 소발(素髮 : 머리카락이 표현되지 않는 것)의 머리카락을 하고 있다. 장방형의 상호(相好 : 얼굴)에 이마의 길이는 눈썹과 맞닿을 정도로 짧고, 이마 중앙에는 백호(白毫 : 원래 흰털을 뜻하지만, 후대에 보석으로 대체됨)를 끼워 넣기 위해 뚫은 구멍이 나 있다. 반원으로 새겨진 눈썹과 가늘게 뜨고 있는 초승달 같은 눈, 커다란 코, 윗입술이 살짝 들린 입, 튀어나온 광배 뼈, 어깨까지 닿아 있는 귀를 가지고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 : 세 개의 선)가 양각되어 있다.

마애여래입상은 넓은 어깨를 가지고 있는데, 그 폭은 다리 부분과 거의 같다. 즉 불상의 몸을 장방형으로 구획한 다음, 어깨와 팔꿈치 등 굴곡진 부분을 깎아 내는 방식으로 조각하였다. 법의 자락은 가슴 앞에서부터 U자를 그리며 무릎 앞까지 내려오는데, 윗부분에서는 그나마 평행계단식 표현법이 구사되다가 다리 부분에 이르러서는 선각(線刻)으로 간략하게 표현되고 있다. 정강이 부분은 마모가 심하여 선명하지 않으나 수직선 몇 가닥으로 군의(裙衣 : 치마) 자락을 표현한 듯하다. 한편 양쪽 어깨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법의(法衣 : 불상의 옷)의 주름은 대칭적으로 처리되었으며, 팔뚝 위를 휘감고 내려오는 법의 주름도 같은 모습이다.

삼태리 마애여래입상은 불상의 형식과 상호의 표정, 바위 바깥부분에서 안쪽으로 오목하게 파고 들어가는 마애 기법 등을 통하여 볼 때, 고려시대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산 정상부의 거대한 바위를 이용하여 마애기법으로 새기던 고려시대 전기의 마애불상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마애여래입상은 광대뼈가 강조되는 얼굴 표현 등에서 고려시대 전기에 충청도 지방에서 유행하던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고려시대 전기에 유행하던 산 정상부의 마애불상의 중요한 예이자 얼굴의 표정 등에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같은 시기 충청도 지방에서 유행하던 불상으로서 고려시대 전기의 시대성과 지역성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참고문헌

『충청남도 문화재대관』1-3(충청남도, 2009)
『문화유적해설』(천안군문화원, 1992)
집필자
배재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