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지장 ()

목차
관련 정보
청구지장
청구지장
유교
문헌
조선전기부터 1879년(고종 16년)까지 각 직관의 벼슬아치 명단을 연대순으로 엮은 역사서.
목차
정의
조선전기부터 1879년(고종 16년)까지 각 직관의 벼슬아치 명단을 연대순으로 엮은 역사서.
내용

9권 9책. 필사본. 편자는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천관고(天官考) 654인, 아전안(亞銓案) 713인, 삼전안(三銓案) 759인, 전랑고(銓郎考) 1,053인, 본병고(本兵考) 503인, 장부고(掌賦考) 302인, 혜당고(惠堂考) 175인, 종백고(宗伯考) 576인, 주서(注書) 19인, 권2에 태사(台司)·이상(貳相)·사인(舍人)·주유(籌有)·주부(籌副)·녹훈(錄勳)·위훈(僞勳)·훈장(訓將)·어장(御將)·금장(禁將)·총사(摠使)·수어사(守禦使)·수부(帥府), 권3에 증시록(贈諡錄), 권4에 문형(文衡)·제학(提學)·부학(副學)·한림(翰林)·호당(湖堂)·규각(奎閣)·괴부(槐副), 권5에 옥서(玉署)·동벽(東壁), 권6에 학교(學校)·동성균(同成均)·좨주(祭酒)·사업(司業)·전학(典學)·진선(進善)·유선(諭善)·자의(諮議)·경연(經筵)·보양(輔養)·원손사부(元孫師傅)·입학집사(入學執事)·지신(知申), 권7에 기영(耆英)·치정(致政)·휴퇴(休退)·청백(淸白)·연괴(蓮槐)·화사(華槎)·황조(皇朝)·수로조천(水路朝天)·통신사(通信使)·사개(使价), 권8에 번진(藩鎭), 권9에 조두록(俎豆錄)으로 대보단(大報壇)·문묘(文廟)·숭절사(崇節祠)·관왕묘(關王廟)·만동묘(萬東廟)·태묘배향(太廟配享)·서원(書院) 등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 500년 간의 문무관 각신(閣臣)·장신(將臣)·문형(文衡) 등을 총망라해 각 직관별로 성명을 기록하고 각 성명 밑에 관직, 자호, 관향, 등과 연도, 부자 관계 등을 주(註)로 기입하고 있다. 특히, 「증시록」에는 각종 시호법을 설명하고 시호보를 수록했는데, 선조조 이전은 미고(未考)로 되어 있다.

「번진」에는 경기·호서·해서·관동·영남·호남·관서·관북·개성·광주·강화 등의 진장(鎭長)과 연혁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은 조선조 등과자의 명단이 집성되어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기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